죽음의 수용소에서 (양장) - 빅터 프랭클의
빅터 프랭클 지음, 이시형 옮김 / 청아출판사 / 2005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아우슈비츠에서 살아남은 신경정신과 의사에 개인적 수기와 더불어 그 경험으로 탄생한 로고테라피를 소개한다. 죽음을 앞에 둔 실존적 인간의 여러 유형을 직접 경험하여 로고테라피 이론을 만들었다. 책의 절반은 절망적인 아우슈비츠 수용자들의 정신이 황폐화 되어가는 여러 심리상태를 그린다.

 

수용소 생활에서 오는 현실적 충격과 인간 이하의 취급을 받는 모멸감 그리고 죽음 앞에 한갓 초라한 존재라는 사실에서 정서는 밑바닥까지 떨어진다. 불합리한 학살과 잔인한 폭력이 벌어지는 장면을 목격하고도 덤덤해질 정도로 심리적 황폐화를 겪는다. 반면에 그러한 상황에서도 석양이 지는 것과 사소한 말장난을 주고 받으며 작은 행복감을 느끼기도 한다.  

 

절망의 가혹함 

 

절망할 수 밖에 없는 그 곳에서도 삶에 대한 희망을 잃지 않으면 그런 상황에서도 버텨낼 수 있음을 말하고 있다. 살아남은 사람들은 보고싶은 가족과 친구들을 볼 수 있을지 모른다는 막연한 믿음으로 버틸 수 있었다. 그렇지만 그러한 믿음은 인간을 극복할 수 있게 하는 원동력이지만 그 믿음이 사실과 다를 때 오는 비통함과 좌절은 정말 견디기 힘들 것이다. 

 

단적인 예로 크리스마스에 사망자 수가 많았다고 한다. 혹독한 추위와 배고픔, 노동 그리고 사람들이 차례차례 소각로에서 검은연기로 변하는 상황을 맨 정신으로 버텨낼 수는 없었을 게다. 다가오는 크리스마스를 생각하며 그 때는 집으로 돌아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믿음을 갖는다. 허나 여전히 자신은 크리스마스에도 나가지 못하고 작업을 하고 있으며 언제 끌날지 알 수 없고 또한 살아나갈 수 있을지 분명치 못한 현실을 직시했을때 정신력으로 생을 버텼던 인간은 차가운 현실 앞에 좌절하게 된다.

 

또한 아우슈비츠에서 집으로 돌아온 후에도 문제가 된다. 지옥 같은 수용소 생활에서 보고싶었던 가족과 친구들이 있는 고향으로 돌아왔지만 생각했던 것처럼 환영받지 못했을 때, 그곳에서 사람들을 간절히 그리워했지만 사실 그들은 자신에 대해 별 생각을 하지 않았다는 것을 느꼈을때 가령 "우리도 힘들었어요" "몰랐어요." 라는 말을 들을 때마다 비통함과 환멸을 느끼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로고테라피 

 

어쨌든 이런 죽음 앞에 선 경험에서 나온 것이 로고테라피 요법이다. 로고테라피는 미래에 대해 초점을 맞춘다. 미래에 환자가 이루어야 할 과제가 갖고 있는 의미에 초점을 맞춘다. 그래서 정신질환을 일으키는데 커다란 역할을 하는 송환기제(feedback mechanism), 악순환 형성(vicious-circle formation)을 막는다. 그래서 자기집중증상이 발생하고 심화되는 것을 막는다고 한다.

 

정신병 중 일부는 실존적 문제일 것이다. 삶의 목적상실에서 오는 의미상실 그리고 상실감 후에 나타나는 불안과 자신에 대한 절망적 망상들은 더욱 증상을 악화시키거나 충동적 자살을 불러오는 요인이 된다. 미래라는 도로가 막혀 있을때 정신은 시간을 벗어나 과거의 추억으로 되돌아간다. 과거에 안좋았던 사건은 기억이라는 화살로 되돌아와 현재의 가슴에 꽂히기를 반복한다. 꽂힌 화살은 정신의 부정적 망상을 낳고 그것은 사실이 되고 현재의 심리상태를 뒤흔든다. 그래서 한 없이 현재의 자신은 초라해지고 비루해진다. 그리하여 아직 가보지 못한 미래라는 도로는 결코 도달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이기도 하고, 때론 암흑처럼 덥칠지 모르는 두려운 그 무엇으로 비약하게 된다.

 

거대한 공포 그리고 삶 

 

사실 인생은 아무 의미가 없는지도 모른다. 내가 태어난 이유도 모르지만 그저 태어나 있어서 떠밀리다시피 살아가고 그러다가 늙고 병들고 모든 생물이 그렇듯 죽는다는 것. 이 명확한 사실에 허망함을 느낀 인간은 대리석에 형상을 부여하듯 말씀으로 삶에 의미를 부여한 것일지도 모른다. 죽은 망자의 육신을 보며 드는 죽음에 대한 공포감은 천국이라는 형이상학적 내세를 만들고..

 

인생의 의미를 뻥튀기처럼 튀길 필요는 없겠다는 생각이 든다. 인생은 생각 만큼 거대하지도 그리 대단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살면서 어떤 일에 중압감이 크다면, 때로는 어린시절 재미있게 놀이를 했던 그 느낌으로 생각하면 안될까? 열정과 진지함? 놀이에 빠져 혼신에 노력을 기울이는 아이에게 그것은 진지하고 또한 스릴 있으며 소소한 행복이다. 어른과 아이의 차이는 장난감의 스케일이 변한 것일 뿐, 별 차이 없는 게 아닐까.  

 

아우슈비츠에서 믿음을 버리지 않을 수 있었던 이유는 소망과 가족들이다. 더 분명하게 말한다면 사랑하는 가족과의 만남과 소소한 취미활동 그리고 일이라는 것에서 따라나오는 행복일 것이다. 그렇다면 행복감은 만들어지는 것일까? 그들은 분명 거창한 행복을 바라지 않았을 것이다. 과거에 누렸었던 소박한 행복과 안락함이 그들을 극한의 절망적 상황에서 견디게 해주었다. 간혹 삶을 너무 진지하고 무겁게만 느끼곤 한다. 하지만 작은 것에서도 소소한 행복을 느낄 수 있다면 거창해져버린 비장한 삶이라는 옷을 벗고 가벼운 복장으로 쾌활하게 움직여보는 것도 그리 나쁘진 않을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