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솔지 소설
손솔지 지음 / 새움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자들의 뇌리에 명확하게 박히게 하는 요소 중의 하나로 독특한 소재를 꼽을 수 있을 것 같다. 전혀 예상치 못한 전개와 극중 인물을 절망의 끝으로 떨어뜨려 대비효과를 뚜렷하게 나타낸다. 기발한 발상으로 이끄는 것이 아니라 스토리의 탄탄함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손솔지 작가는 전작 <먼지 먹는 개>에서부터 자신의 작품세계가 가진 색깔을 나타낸 바 있다. <휘>라는 작품도 그 연장선상에서 이어지는 것 같다. 휘, 종, 홈, 개, 못, 톡, 잠, 초라는 단어가 담고 있는 함축적인 의미를 알고부터 소름이 돋았는데 우리 주변에 세상으로부터 버림받고 보호받지 못한 채 소외된 사람들이 많다. 사회고발 프로그램이나 뉴스면에서만 봤을 뿐인데 작가의 나이를 뛰어넘는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과 각 작품마다 독자들을 몰입시키는 흡입력이 남다르다. 오히려 <먼지 먹는 개>보다 더 능숙해진 것 같다.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쓴다는 것은 그만큼 세상으로부터 소외된 사람들에 대한 관심을 평소에 가지고 있었기에 작품으로 쓸 수 있었을 것이다. 작품의 소재 또한 다양하다. 가족, 연인, 친구, 학교, 불면증, 죽음, 세월호 참사 등 이를 아우르는 작가의 힘이 느껴진다. 특히 '종'이라는 작품에 이르러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잔혹함에 분노가 치밀었다. 같은 가족인데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종 부리듯이 함부로 대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가 가지 않았다. 어머니는 집을 떠났고 집에는 아버지와 오빠, 누이만 있는데 화자 속의 '나'는 집에서 종 노릇을 하는 누이가 창피했고 그런 이유로 밖에서 따돌림 당하는 것이 부끄러웠다. 절정에 이르러 어머니에게 가라는 말에서 지옥같은 삶을 벗어나 교회 종을 치듯 해방된다는 결말이 인상적인 작품이었다.



책 뒷표지를 보면 이런 문구가 나온다. 삶에 붙잡혀 자신을 놓쳐버린 지금 여기, 우리 이야기. 그렇다. 안 좋은 소식은 꼭 남의 얘기처럼 들리지만 결국 모아보면 내게도 있었던 일이고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세월호 사건을 어떻게 생각하든 분명한 것은 우리가 남의 아픔을 외면하는 순간 누구도 우리를 지켜줄 수 없다는 사실이다. 아픔은 함께 나누고 공감할 때 비로소 힘을 발휘하는 것이다. 너와 나의 일로 분리하며 생각할 수는 없다. 아직 가족들 품으로 돌아오지 못한 아이들이 있다. 어른들을 믿고 따랐을 뿐인데 그 댓가는 차가운 바다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죽음을 맞이해야 했다는 것이다. 분명 잘못한 사람은 있는데 나서서 책임지는 사람이나 기관, 정부는 없다. <휘>라는 작품을 보면 더욱 확신이 선다. 우리의 무관심이 배려심 없고 공감 능력이 떨어지는 사회를 만들어가고 있다는 것을. 



책장을 읽는 내내 가슴이 뛰었다. 처절해서 차마 사실이 아니길 바라거나. 극중 인물이 결국에는 행복해지기를 바랬다. 왜 곧이 곧대로 순응하며 사는 사람들은 고통을 받아야만 할까? 가해자에 대한 비난보다 더 참혹한 것은 피해자에 대한 냉대어린 시선이다. 우린 알게 모르게 이를 반복해왔고 비극을 낳았다. 작가의 나이가 많지 않은데도 이런 소재를 썼다는 것은 앞으로 해줄 얘기가 많은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