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살고 싶은 작은 집 - 공간 낭비 없이 내 삶에 가장 어울리는 집을 짓는 방법
임형남.노은주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7년 1월
평점 :
품절


언제나 그렇듯 자신이 원하는 바를 뚜렷하게 알고 사는 사람들은 참 부럽다. 그들은 어떻게 그렇게 구체적일까. 삶도 원하는 바도. 예전에는 성향의 차이라고 생각했으나 인생의 나이테가 굵어지다보니 그건 생각의 깊이에서 온 차이였음을 알게 되었다. 끊임없이 생각하고 끝없이 꿈꾸면 원하는 바를 이룰 수 있는 방법을 찾게 된다. 



 <내가 살고 싶은 작은 집> 엔 총 9채의 집이 등장한다. '가장 편안하고 인간답고, 자연과 어우러진 집'을 궁리해왔다는 부부 건축가는 틈만 나면 옛집을 찾아가고 골목을 거닐면서 도시를 산책하곤 한다고 고백한다. 그 과정 속에서 답을 찾고 그 끝에 집을 완성하곤 해 왔던 모양이다.

 

결과는 근사했다. 기울어진 비탈길을 옆구리에 낀 7.5평의 터는 카페로 착각이 일만큼 근사한 들꽃집으로 재탄생했고, 친정아버지가 남긴 낡은 창고는 신혼부부를 위한 멋진 시작의 공간으로 완성되어졌다. 어느 한 집도 똑같은 집이 없었다. 천편일률적인 아파트나 전원주택 단지의 모습과 달리 부부가 지은 집은 집주인의 꿈과 쓸모가 함께 충족되는 합리적인 공간으로 탈바꿈되었다.



작은 평수라고 표기되어있지 않았다면 제법 큰 평수로 착각했을만큼 시원시원하게 빠진 공간과 높은 층고, 밝고 큰 창은 아름다웠고 프로젝터로 벽에 영화를 볼 수 있는 시스템이나 큼직한 계단식 가구를 설치하는 등의 공간활용은 너무나 멋진 아이디어처럼 보여졌다.

 

 넓은 집 보다는 청소하기 좋은 적당한 사이즈의 집을 선호하게 된 것은 함께 사는 집이 아닌 나의 집을 꿈꾸면서부터였는데, 부모님과 형제들이 모여살던 집은 '우리 집'이라는 느낌이었다면 독립 후 꿈꾸고 있는 집은 '나의 집'이라는 생각으로 꿈꾸며 살고 있다. 언젠가 딱 맞는 집을 만나게 되길 바라면서.


물론 집을 소유하는 데는 비용이 많이 든다. 땅값도 비싸고 집을 짓는데도 한 두 푼 드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쉽게 결정하기 힘들다. 무척대고 무대포적으로 시작할 수 도 없다. 땅을 마련한 후엔 설계를 해야하고 신고절차를 걸쳐야하며 시공을 거쳐야 집을 완성할 수 있다. 간단해 보이지만 땅을 사는데부터 신중해야 했다. 기본적인 지식 없이 땅을 사게 되면 속아서 사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는데 겉만 멀쩡한 맹지에 속을 수도 있고 옆 땅 주인의 동의서를 받기 위해 골머리를 앓아야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고 충고한다. 집을 짓는 일 역시 아는만큼 보이는 일이었던 것이다. 꼼꼼하게 체크하고 미리미리 공부해 두어야 최소한의 실수를 피해갈 수 있는 일이었다.

 

 

아직은 어떤 집에서 살고 싶은지 단계에 고민이 머물러 있다. 기껏해봐야 근사한 인테리어, 예쁜 가구들을 보는 것이 전부였다면 책을 읽고난 지금부터는 필요한 공간과 없애도 되는 공간, 짜임새 있는 수납, 창의 크기, 동선까지..고려해 보려 한다. 생각을 조금만 바꾸었을 뿐인데, 맞춤집을 상상하는 일이 한결 수월해졌다. 준비가 되어져 있을 때 집 지을 기회가 생기지 않을까. 즐거운 마음으로 그 준비에 나섰다. 조금씩. 책을 통해 그 방법을 배웠으므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