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은 먹었니들? 같은 표현과 영어를 비교하는 발상은 흥미롭다. 하지만 영어에 대한 연구가 조금 부족한 느낌이다. 영어의 주격 단어에 존칭 표현이 따로 없긴 하지만 낮춰 표현할 수는 있고(that a**ole), loved ones, favorite one과 같이 자신의 선호를 담아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he‘s my favorite Korean! 쟤는 한국인 중에서도 내가 특별히 좋아하는 사람이야!)

죽음을 표현할 때 한국어는 죽었다,뒈졌다, 돌아가셨다 로 다양하게 가능하지만 영어는 그게 안됨, 이란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he‘s dead, he died, he passed away, he‘s gone등 다양한 번역이 가능하다.

국어만이 표현할 수 있는 것에 집착한 듯 하다. 언어라는 게 보편성이 있다고 믿어지는 한, 하나의 언어 체계안에서만 가능한 표현이라는 건 허술한 가설이 되기 쉽다. 그보다는 같은 의미라도 서로 다른 형식(표현)을 활용한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일 것이다.

예를 들어 i love you는 i는 you를 love한다로 훈토할 수 잇는데, 의미또한 나는 너를 사랑한다로 쉽게 번역되지만,i marry you는 i는 you를 marry한다로 훈토해야 하나(형식상) 나는 너를 marry한다에서 한국어의 결혼을 대입하면 어색한 문장이 된다. 한국어에서 결혼하다는 ~와 결혼하다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영어의 marry는 의미상 배우자로 삼다에 가까운 표현이다. 따라서 will you marry me는 의미상으로 보자면 나를 배우자로 삼아줄래?라는 뜻이고 i am married는 나는 배우자로 삼아진 상태에 있다는 뜻이 된다.

여기서 문화론을 펴면 한국은 결혼을 평등한 관계의 결합으로 본 것이고 영어는 주체가 대상에게 행하는 행위로 본 것이다는 식의 논리가 전개되겠지만 그건 좀 비약일 듯. 다만 결혼이라는 행위와 관련하여 생각의 구조를 파악하는 데 도움은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밥은 먹었니들? 같은 표현과 영어를 비교하는 발상은 흥미롭다. 하지만 영어에 대한 연구가 조금 부족한 느낌이다. 영어의 주격 단어에 존칭 표현이 따로 없긴 하지만 낮춰 표현할 수는 있고(that a**ole), loved ones, favorite one과 같이 자신의 선호를 담아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he‘s my favorite Korean! 쟤는 한국인 중에서도 내가 특별히 좋아하는 사람이야!)

죽음을 표현할 때 한국어는 죽었다,뒈졌다, 돌아가셨다 로 다양하게 가능하지만 영어는 그게 안됨, 이란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he‘s dead, he died, he passed away, he‘s gone등 다양한 번역이 가능하다.

국어만이 표현할 수 있는 것에 집착한 듯 하다. 언어라는 게 보편성이 있다고 믿어지는 한, 하나의 언어 체계안에서만 가능한 표현이라는 건 허술한 가설이 되기 쉽다. 그보다는 같은 의미라도 서로 다른 형식(표현)을 활용한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일 것이다.

예를 들어 i love you는 i는 you를 love한다로 훈토할 수 잇는데, 의미또한 나는 너를 사랑한다로 쉽게 번역되지만,i marry you는 i는 you를 marry한다로 훈토해야 하나(형식상) 나는 너를 marry한다에서 한국어의 결혼을 대입하면 어색한 문장이 된다. 한국어에서 결혼하다는 ~와 결혼하다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영어의 marry는 의미상 배우자로 삼다에 가까운 표현이다. 따라서 will you marry me는 의미상으로 보자면 나를 배우자로 삼아줄래?라는 뜻이고 i am married는 나는 배우자로 삼아진 상태에 있다는 뜻이 된다.

여기서 문화론을 펴면 한국은 결혼을 평등한 관계의 결합으로 본 것이고 영어는 주체가 대상에게 행하는 행위로 본 것이다는 식의 논리가 전개되겠지만 그건 좀 비약일 듯. 다만 결혼이라는 행위와 관련하여 생각의 구조를 파악하는 데 도움은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cronym과 abbreviation을 한국어에서는 구분하지 않는다. UFO는 acronym이고(따라서 알파벳 음으로 구분해서 유에프오로 발음) radar는 abbreviation(따라서 레이다로 발음)인데, 한국어는 어느쪽이든 음절 단위로 발음하니까 구분이 필요없다. 다만, 전자를 두문자어라고 구분해서 부르기도 한다(머릿글자를 따서 줄여부른다는 의미). 원칙은 없지만 통상 3글자 이하는 두문자어가 되고 그 이상으로 길어지면 abbreviation이 되는데 당연히 예외도 있다.

발음상의 차이는 없지만 ‘멘붕‘이나 ‘안습‘처럼 처음에는 줄임말이었다가 많이 사용해서 원래 한 단어인냥 쓰고 있는 한국어 단어가 있는데, 한국어는 영어와는 반대로 글자수가 적으면 단어로 취급되고 ‘낄끼빠빠‘처럼 음절의 수가 늘어나면 계속 줄임말 신세인 경우가 많은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본어 동시통역사의 에세이. 제목이 굉장해서(무려 ‘극의‘란다) 기대감 업.(대개 그럼 내용이 부실하던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뇌(brain)랑 뇌(나야무, 고민하다)의 동음이의어로 제목에 장난을 친 것 같다. 일본어로는 둘다 ‘무노오료쿠‘로 발음 되겠지? 알파벳으로 동음이의어를 만든 1Q84(1984,1Q84 둘 다 잇큐핫사이 로 발음된다)도 있다. 약간 아재 개그 같은 느낌? 라떼이즈홀스 같은 말장난들을 만들어내는 걸 보면 언어환경의 제약이 꼭 언어 생활의 제약을 의미하진 않는 것 같다. 한자를 병기하지 않는 걸 언어 환경의 제약으로 보아야 하냐는 데 이견이 있을 순 있을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