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가지 인생의 법칙 - 혼돈의 해독제
조던 B. 피터슨 지음, 강주헌 옮김 / 메이븐 / 2018년 10월
평점 :
절판


피터슨이 인간을 관찰하는 곳은 사각에 위치한다. 이쪽에서도 저쪽에서도 잘 안보인다.

전제는 이렇다. 문명은 불안정하다는 것.

국가 사회 공동체 대규모 협력과 같은 문명의 열매는 당장이라도 대규모 전쟁 학살 고문 혐오 공멸과 같은 혼돈으로 돌아갈 수 있다. 세계는 비극적이며 따라서 우리가 당연하다고 믿고 있는 가치들이 어떻게 당연해질 수 있는지를 아는 일이 무엇보다 시급하다는 것.

우리가 적절히 행동하고 있다고 해서 반드시 근거를 알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이는 개인에게도 사회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그래서 윤리의 심급을 묻는 질문은 늘 곤란하다. 토대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인도인의 신화속에서 지구를 떠받치는 코끼리와 거북이처럼 허공에 떠 있을 뿐, 지금껏 그것의 기원은 종교와 전통의 이름 속에 은장되어 왔다.

혼돈의 도래를 경계하라는 그의 예언자적 외침이 호소력을 갖는 이유 중의 하나는 인류가 20세기를 거쳐오면서 붕괴된 가치들이 토대를 덮은 장막 위로 쏟아져 내리고 있다는 사실일 것이다. 이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세례를 받은 현대인들에게는 모든 가치를 상대화하라는 정언명령의 실천이며 적절하게 마음에 쏙 드는 일이다. 누군들 똑똑한 척 하고 싶지 않을까.

그러나 슬프게도 인간은 허공 위에 설 수 없다. 우리는 한 번 황폐해진 땅 위에 새로운 땅을 일구어야 한다. 우리가 너무 못나서가 아니라 위대한 탓에 이 작업은 결코 만만치 않은 노동이 될 것이다. 우리는 이미 믿음을 잃었고 다 큰 아이에게 다시 산타크로스를 믿으라고 해봐야 소용없듯 솔직히 이 작업의 전망이 그리 밝아보이진 않는다.

그럼에도 희망이 있다면 그것은 우리가 대체로 최악의 상황에 가까웠고 뭐 밑져야 본전이니 망하기 밖에 더하겠는가라는 것. 서로를 일깨우고 도닥이며 가능성을 모색한다면 작은 단서라도 나오지 않을까. 그걸로 충분하다고 믿어보는 일이 무모한 낙관만은 아니기를 희망한다.

벤야민이 말했듯 역사를 폭파시키는 것은 작고 소소한 것일 수도 있을테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