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정이 된 과학자들 - 전염병의 비밀을 푸는 열쇠, 페이션트 제로를 찾아라
마릴리 피터스 지음, 지여울 옮김, 이현숙 감수 / 다른 / 201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원제 - Patient Zero, 2014

  저자 - 마릴리 피터스






  이 책은 치명적인 전염병에 대해 인간이 어떤 노력을 했는지, 이야기 형식으로 풀어쓰고 있다. 특히 그 질병에 대해 처음 인지하고, 원인과 전염 경로 그리고 대처법을 연구했던 사람들 중심으로 서술되고 있다. 그 중에는 다른 이들이 하지 않은 독특한 방법을 쓰거나, 다른 이들로부터 헛수고한다는 말을 들었지만 좌절하지 않은 사람도 포함된다. 여기서는 1665년 런던을 휩쓴 ‘페스트’, 1854년 소호에 퍼졌던 ‘콜레라’, 1900년 쿠바의 ‘황열병’, 1906년 뉴욕을 공포에 빠트린 ‘장티푸스’, 1918년 전 세계를 죽음의 위기로 몰아넣은 ‘스페인 독감’, 1976년 모두를 경악시킨 ‘에볼라’ 그리고 1980년 ‘에이즈’까지, 총 일곱 개의 전염병을 다루고 있다.



  책은 이야기 형식으로 되어 있어서 읽기가 수월했다. 게다가 꽤 많은 부연 설명들이 수록되어 있어서, 좀 더 깊이 있는 내용이나 연관된 사항을 알려주고 있었다. 그리고 맨 뒤쪽에는 우리나라의 역사서에 기록된 한국의 전염병에 대한 이야기도 간략하게 실려 있었다. 문득 서양과 우리나라의 질병에 대한 관련성이 궁금해졌다. 요즘은 외국에서 어떤 병이 유행한다싶으면, 몇 주내에 한국에서도 발병한다. 하지만 예전에는 몇 년 정도 걸렸을 것이다. 그런 걸 얘기해주는 책은 없는지 찾아봐야겠다.



  다시 이 책으로 돌아와서, ‘탐정이 된 과학자들’이라는 제목이 참 절묘했다. 최초로 페스트에 대한 기록을 작성한 ‘그랜트’나 콜레라의 발병 원인을 알기 위해 소호를 샅샅이 수색한 ‘존 스노’의 연구 방법은 그야말로 발로 뛰고, 자료를 표로 정리하며, 이를 바탕으로 논리적으로 추론을 거듭하는 것이 마치 탐정이 사건 수사를 하는 것과 비슷했다. 그런 존 스노의 ‘가죽 구두 전염병학’ 방법을 바탕으로 ‘소퍼’는 어째서 그나마 위생적으로 깨끗했던 뉴욕에서 장티푸스가 발병했는지 알아낼 수 있었다. 이런 식으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차곡차곡 쌓이면서, 인간은 전염병에 대처해왔다. 그 와중에 자신의 이론을 입증하기 위해 스스로 병에 걸린 의사들도 있었다. 그야말로 대단한 열정이고 책임감이며 자신에 대한 확신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희생과 도전이 있어서 우리가 지금 편안하게 살 수 있게 된 것이다. 음, 저 문장을 쓰면서 생각해보니 아직도 우리는 여러 가지 질병의 위험에 노출되어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해마다 돼지와 닭이 죽어간다는 사실을 떠올리며, 그건 자연이 주는 시련인지 아니면 인간이 만든 것인지 의문이 들었다. 언제쯤이면 돼지와 닭이 땅에 파묻히지 않을까?



  뉴욕의 장티푸스 편을 읽으면서, 개인의 위생 의식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자신이 보균자라는 사실을 몰랐을 때는 어쩔 수 없었다고 해도, 알고 난 뒤에는 조심했어야 하지 않을까? 그 사람이 좀 더 신중히 행동했다면 그 정도로 퍼지지는 않았을 텐데……. 어쩌면 복수하고 싶었던 게 아닐까하는 추측도 해보았다. 어떤 미국 드라마에서 그런 비슷한 내용을 본 것 같다. 자신에게 병원균을 주사하고, 사람이 많이 다니는 지하철이나 버스 손잡이를 일부로 잡고 다니는 장면이 기억난다. 어째서 모든 이야기가 다 범죄물로 이어지는지 잘 모르겠다. 나란 사람은 뼛속까지 추리호러스릴러인가!



  하지만 좀 이건 아니라는 부분도 있었다. 추가 설명 부분이 파란 박스 안에 들어 첨부가 되는데, 어떤 페이지에서는 그게 내용의 흐름을 끊는 경우가 있었다. 다음 페이지로 문장이 이어지는데 그 밑에 떡하니 박스가 자리 잡고 있으면, 다음으로 넘어가야 하나 아니면 추가 설명을 읽고 넘어가야 하나 고민하게 된다. 혹시라도 개정판이 나오게 된다면, 그런 부분에 좀 신경써줬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