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타인을 이해하는 게 가능할까?

 

 

내가 그런 뜻으로 말한 게 아닌데 너가 오해했구나, 기분 나빴다면 미안해. 이런 말을 건넨 경험이 누구나 있음직하다. 한쪽은 상대방의 말을 잘못 받아들여 기분이 좋지 않고 다른 한쪽은 오해가 생긴 것에 사과를 한다. 타인을 이해하지 못해 의사소통이 안 된 경우다.

 

 

사십 대인 지인이 암으로 세상을 떠나 장례식장에 간 적이 있다. 장례식장에 가면서 내 슬픔은 차치하고 무엇보다 큰 슬픔에 잠겨 있을 고인의 어머니를 어떻게 봐야 할지 난감하였다. 혹시 자식을 잃은 어머니가 큰 충격으로 병이 나신 건 아닌가 하고 걱정이 되기도 했다. 그런데 장례식장에 들어서자 고인의 어머니가 문상객들을 환한 웃음으로 대하는 걸 보고 나는 충격을 받았다. 상상 밖의 일이었다. 아직 젊은 나이에 죽은 지인이라 안타까움이 더 컸기에 나의 상상으로는 자식의 죽음 앞에 어머니가 기절을 하든지 아니면 삶의 의욕을 잃은 침울한 얼굴을 하고 있어야 마땅했다. 나중에 남에게서 전해 들었다. 그 어머니는 죽은 딸이 천당에 간 것으로 여긴다는 거였다. 난 그어머니를 이해할 수 없었다.

 

 

알베르 카뮈의 소설 <이방인>에는 비상식적이고 솔직한 인물이 나온다. 그의 이름은 뫼르소다. 뫼르소는 양로원에서 지내던 어머니의 부음 소식을 알리는 전보를 받고도 평소와 다름없이 식당에서 태연히 점심을 먹는다. 또 아랍인을 권총으로 쏘아 죽이고 나서 살인 동기에 대하여 “그것은 태양 때문이었다.”라고 말한다. 이런 뫼르소를 우리는 이해할 수 있을까?

 

 

마침내 뫼르소에게 사형 선고가 내려진다. 검사는 이렇게 말한다. “배심원 여러분, 어머니가 사망한 바로 그 다음날에 이 사람은 해수욕을 하고, 부정한 관계를 맺기 시작했으며, 희극영화를 보러 가서 시시덕거린 것입니다. 나는 더 이상 할 말이 없습니다.”

 

 

검사의 말뜻을 헤아리면 이러하다. ‘어머니가 사망한 바로 그 다음날에는 해수욕을 해서는 안 되고, 이성과 부정한 관계를 맺어서는 안 되며, 희극 영화를 보러 가서 시시덕거려서는 안 된다. 어머니의 죽음 뒤에 그런 행동을 하는 사람은 정상적인 사람이 아니며 도덕적인 사람이 아니다. 그러니 살인을 한 뫼르소에게 무기 징역이 아니라 사형이 선고되는 게 마땅하다.’

 

 

정상적인 사람과 비정상적인 사람으로 나누는 이분법적 사고는 우리가 ‘모든 사람을 완전히 이해할 수 있음’에 근거한다. 그러나 우리는 모든 사람을 이해할 수 없다. 사람은 각기 다르기 때문이다. 살아온 삶이 다르고 사고방식이 다르며 생활 방식이 다르다. 그래서 타인에 대해 완전히 이해하기란 불가능한 일임에도 한 가지 잣대로 누군가에 대해 정상적인 사람인지 아닌지를, 또는 도덕적인 사람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 자체가 잘못이다.

 

 

우리는 공중을 날아다니는 잠자리의 기분을 알 수 없으며, 바닥을 기어다니는 개미의 기분을 알 수 없다. 그것을 알려면 잠자리가 되어 보아야 하고 개미가 되어 보아야 한다. 마찬가지로 타인의 마음을 알려면 타인과 똑같은 삶을 사는 사람이 되어 봐야 한다. 하지만 어떻게 똑같은 삶을 사는 사람이 되어 볼 수 있겠는가.

 

 

일례로 하늘에서 내리는 ‘눈’을 사람마다 다른 시각으로 보는 것은 제각각 다른 삶을 살아서다. 눈사람을 재밌게 만들었던 누구에게는 눈이 즐거운 추억을 떠오르게 한다. 하지만 눈사태로 가족을 잃었던 누구에게는 눈이 끔찍한 사건을 떠오르게 한다. 같은 ‘눈’이지만 이렇게 다르게 받아들일 수 있다. 그러니 타인에게는 자신이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우리는 납득할 수 없는 타인에 대해 우선 이해하려는 자세를 가져야 하겠지만 그래도 납득하기 어려울 땐 이해를 포기하는 것이 옳다. 섣불리 단정하여 오해하지 않기 위해서다.

 

 

남들이 보기에 엉뚱하고 우스꽝스러운 뫼르소.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려운 이가 있을 때 그에 대해 속단하지 말고 차라리 ‘뫼르소처럼 이해할 수 없는 사람이네.’라고 생각하는 게 현명할 것 같다.

 

 

 

 


원문은 여기로 ⇨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1839

 

 

 

 

 

(이 글과 관련한 책)

 

 

 

 

 

 

 

 

 

 

 

 

 

 

 

 

 

 

 


댓글(6)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02-24 07: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02-24 13:25   URL
비밀 댓글입니다.

stella.K 2019-02-24 14:4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어느 어머님이신지 모르겠습니다만
그 어머니 참 대단하신 분 같습니다.
이건 정말 존경의 뜻입니다.
아무리 신앙이 좋아도 그러기 쉽지 않거든요.
하지만 또 문상 온 사람들 때문에 더 그러셨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문득 문득 먼저 세상을 떠난 자제분이
생각 나시겠지요. 괜히 제가 다 마음이 뭉클해집니다.
그래도 하나님 믿는 신앙을 가지고 계시니 잘 이겨내시리라 믿습니다.

정말 사람을 이해한다는 게 쉽지 않아요.
저 사람은 나와 다를 수 있다는 거 인정하는대도
막상 이해관계에 얽히면 또 다를 수 있거든요.ㅠ

페크pek0501 2019-02-26 22:53   좋아요 0 | URL
신앙의 도움으로 마음이 편해진다면 그게 종교의 좋은 힘이라고 생각합니다.
뫼르소도 어쩌면 죽음에 대해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큼 슬픈 일이라고 여기지 않을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어떤 이는 죽음을 삶의 고통이 끝나는 시간으로 여길 수 있어요. 죽음에 대한 해석은 각자 다를 테니까요. 그래서 그 어머니 이야기를 넣어 봤습니다. 실화입니다.

그런 것 같아요. 인간의 다양성을 인정한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어떤 일에 부딪히면 다른 각도에서 생각하게 됩니다. 인간의 한계 같습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cyrus 2019-02-24 16:4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상대방을 이해하려다가 종종 오해하는 경우가 많아요. 상대방이 어떤 사람인지 잘 알고 싶으면 직접 만나면서 대화를 나눠봐야 해요. ^^

페크pek0501 2019-02-26 22:57   좋아요 0 | URL
종종 오해를 하기도 하고 종종 오해를 받기도 하죠.

우리도 어떤 땐 자신을 이해 받지 못해서 뫼르소와 같은 처지에 있게 되기도 할 것 같아요. ‘나를 왜 이상한 사람 취급하지?‘라고 느껴질 때요.
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