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비평지 《말과활》온라인 공간에 <김신식의 외서통신>이란 코너를 연재하게 되었다.

관심 있는 분들은 가끔 들려주시길..


1회는 사회학자 니나 엘리어소프의 『자원봉사자의 형성: 복지의 종말 이후 시민적 삶』이란 책 소개.



누가 행복을 책임지는가. 국가는 무너지고 남은 것은 시민의 힘!이런 익숙한 구도 가운데 상향 권력의 한계를 짚어보는 책들은 단순히 ‘비평을 위한 비평’ ‘연구를 위한 연구’라는 명목을 넘어선다. 『자원봉사자의 형성: 복지의 종말 이후 시민적 삶Making Volunteers: Civic Life after Welfare’s End』도 그런 책 중 한 권이다. 참여, 행동, 헌신이란 가치가 넘실대는 시민사회의 영역에서 정치적 무관심을 꼬집었던 사회학자 니나 엘리어소프는 한 중소 규모 도시에서 일어난 자원봉사의 물결에 의문을 표한다.

익히 알다시피, 영국 총리 데이비드 캐머런이 주창한 ‘빅 소사이어티Big Society’ 담론은 국가가 행해야 할 복지를 시민에게 ‘떠넘기는 것’ 아니냐는 의문 대 사회적 기업 등을 위시해 시민의 자치 영역을 공고히 하는 상향 권력에 대한 인정이라는 구도로 양분되어왔다. 이 책은 이런 거시적인 입장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자원봉사라고 하는 실천에서 벌어지는 일상을 해부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엘리어소프는 도시 내 공동체 활동에서 자주 강조되는 ‘역량강화empowerment’라는 개념이 어떤 한계를 갖고 있는지 5년간의 참여관찰을 통해 빚어진 예리한 결과물을 선보인다. 원래 역량강화는 사회학이나 정치학, 여성학 쪽에서 자주 쓰였다. 시민들의 권리 확장, 노동조합의 설치, 흑인 투표에 대한 보장, 성해방에 대한 인식 확산 등에서 주창된 이 개념은 정치적·경제적·사회적 권력의 주변부에 있는 이들이 일어설 능력을 부여하는 실천을 지칭했다. 그러다가 이 개념은 현대 사회복지학을 설명하는 근간이 되었고, 경영 이론에서도 조직을 이끌어가기 위한 이론적 매뉴얼로 전유되어왔다.

전문은 여기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