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외국엔 내향적인 사람들과 관련된 흥미로운 자료가 꽤 많다. 그중 '내향적인 사람도 사회학을 전공해도 될까요?'란 질문이 눈에 들어왔다. 스스로를 내향적인 사회학자라고 지칭한 랜들 콜린스(실제로 내향성을 연구하기도 했던)는 전문가 냄새를 풍기며 명쾌한 사회학적 지식으로 그 질문에 답을 해줄지도 모른다(그는 내향성의 미시사를 실제로 정리해본 사람이며, 자신이 주창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연쇄론으로 내향성이라는 현대형 개인주의를 설명할 수 있다고 한 사람이다).

 

2. 그러나 이럴 땐 학문의 때가 덜 묻은 이들의 답에서 흥미로운 지점을 찾을 수도 있다. 답을 쭉 읽어보니 예 내향적이어도 충분히 사회학을 전공할 수 있습니다, 라고 한 쪽은 먼저 자신을 수줍음을 타는 사람 (shy person)이라고 소개하며 사회학을 전공 중이라 밝혔다.  자신은 곧 사교에 능하지 않은 사람이라는 것이다. 어찌보면 사교성에 대한 이런 부인은 답변자가 충분히 사회학의 신조(?)를 따랐다고 볼 수 있다. 일찍이 게오르그 짐멜은 시민사회를 분석하면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았던 것 중 하나가 바로 '친교'였으니 말이다. 랜들 콜린스 또한 내향성을 설명할 때 사교적/비사교적이라는 대비를 자주 애용한다. 콜린스는 내향적인 사람이 비사교적이다라는 시선에 더 가깝다. 허나 심리학자 소피아 뎀블링은 내향적인 사람들 보고 제발 사교적이지 않다는 편견 좀 던지지 말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단순한 문제는 아니다.

 

3. 이보다 더 흥미로운 건 답변자 중 몇몇이 자신들이 사람을 관찰하는 것을 좋아한다는 내용이다. "수줍음이 많아서 강의실에 가면 자리 뒤에 앉아 내 앞에 있는 사람들을 관찰하는 걸 즐기죠" 혹은 인터뷰 등의 작업이 흥미롭다는 답변도 있었다. 사람들을 조사하는 만남이 좋다는 것이다.

내향적인 사람들을 다룬 여러 책을 보면 '관찰자observer'로서의 내향성에 대한 언급이 눈에 띌 정도로 많다. 그러면서 연구자들은 내향적인 사람들의 인간에 대한 관심을 강조해 편견을 깨려는 논지를 택한다. 간단한 관심 수준이 아니라 특유의 섬세함과 감수성을 동원하는 관찰자로서의 내향적 인간은 '내향성의 장'에서 자주 다뤄지는 테마다. 

 

4. 아무래도 사회학적 진술에서 내향성이란 곧 '비사교성'으로 바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 듯하다. 허나 이는 좀 재고해볼 문제다. 랜들 콜린스는 나름 섬세하게 내향성을 설명하지만, 군데군데 내향적인 사람이 사람과 접촉하고 교제하는 것에 대해 에너지를 너무 안 쓰는 경향으로 해석하는 것 같다. 내향성에 대한 연구는 아무래도 심리학 쪽이 강세이긴 하지만, 심리학계에서는 '내향성의 장'이라고 하는 영역을 하나의 사회로 보려는 데는 별로 주안점을 두지 않는다. 그들은 면 대 면(face to face)의 측면에서 나타나는 진실된 자아-거짓된 자아라는 축에서 정서적 에너지를 생산, 소비하는 데 디테일을 동원하기 때문에 상호작용이라는 형식 안에서 개입되는 개인 간의 불균등(사회적 현실에 속한 개인의 상태, 계급-자본-젠더-정치 의식 등등)에는 문제의식이 약하다. 

 

5. 그러나 역시 이런 질문에서 가장 심적 우위에 있는 사람은 "사람마다 다 다양한 성향이 있는 것 아니겠어요?"다. 참고로 내향적인 사람들은 이런 답변을 하는 사람에게 약하다. 자신이 섬세하고 꼼꼼하게 준비한 표현에 대해 가장 성의 없고 할 말이 없게 만드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자신이 타인을 향해 투여한 정서적 에너지가 그만큼 회수되지 않기 때문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