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01 | 20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로마인 이야기 12 - 위기로 치닫는 제국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12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200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2권의 제목은  "위기로 치닫는 제국"이다

로마군에게 파격적인 대우를 해줘서 결과적으론 군의 기강을 헤이하게 만들어 버리고

결국 제국의 힘을 약하게 만들어버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의 아들 카라칼라의 즉위부터 시작되어 디오클레티아누스가 황제의 자리에 즉위하기까지의 기간을 이야기한다

3세기, 73년간의 로마인들의 기록인 것이다

 

이 73년 동안에 로마는 22명이라는 어마어마한 황제가 웅립 되었다가 사라진다

단순하게 다른 건 보지 않고 이 사실 하나만으로도 우리는 이 시대의 로마가 어떤 상태였는지 짐작이 가능하다

뭐 당연한 일이지만 이중 대다수의 황제가 근위대, 경호대 등 측근들에 의해 암살된다

지금까지 수많은 위기를 극복하면서 제국을 더욱 강대하게 만들었던 로마인들이 왜 이 시기에는 그러지 못했을까?

 

가장 간단하게 살펴볼 수 있는 것은 이 시기의 대다수의 황제들이 군단병들에 의해 옹립되고 또 그들에 의해 암살된다

22명 중에 병사나 전투 중에 사망한 소수를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의 황제들이 이 경우에 해당한다

그렇지 않아도 이미 이름뿐이었던 원로원은 이제 정말 아마 힘도 없이 군단병들의 눈치를 보면서 그들이 옹립한 황제들에 대한 추인하는 것이 전부였다

 

원로원과 황제, 로마 시민과 황제, 군대와의 서로 조화를 이루던 예전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군단이 폭주하게 되는 것이다

더 이상 눈치를 보지 않아도 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양질의 지도자를 생산하던 원로원은 이제 그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고

일단 황제를 옹립하면 로마 군대에는 더 이상 거칠 것이 없었다

예전 같으면 브레이크를 걸어주던 세력인 원로원과 로마 시민이 이제 군대에 두려움만을 가지고 있으니 말이다

 

이 시기에 로마는 총체적 난국에 이르게 된다

솔직히 내 생각에는 운이 많이 나쁘기도 했다

이시기 황제들이 만들었던 정책들은 앞의 황제들이 마련한 정책들을 엉망으로 만들기만 할 뿐이고 이는 밖에서의 전쟁을 만들어내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로마 군대~~

그 빛나는 이름이 이제 로마를 망치는 이름으로 변하게 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마인 이야기 11 - 종말의 시작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11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1권은 9권의 뒤를 이어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부터 시작된다

11권 종말의 시작이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로마의 황금기를 누렸던 오 현제의 마지막 황제이니까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90년 가까이 평화를 누린 로마인들~

생각해보면 이 시기에 맞춰서 살다간 로마인들은 행운아인지도 ㅎㅎ하는 생각을 해본다

당시 평균수명이 4-50세 정도일 테니 네루바 황제의 취임 이후에 태어나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가 서거하기 전에 수명을 다한다면 더없이 좋은 세월을 살다간 로마인이 아닐까~~

 

오현제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에서 끝나는 것은 그 이전에는 황제들은 친자가 전황제들의 친자가 아니다

즉 황제가 될만한 소질과 소양을 갖춘 인물들을 황제들이 양자로 맞아들여 황제의 가족(양자로 끝나는 경우도 있으니 전 황제의 딸과 결혼하여 사위가 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마르크스 아우렐리우스 황제 다음으로 황제의 자리에 오르는 콤모두스 황제는 황제의 친자이다

어릴 때부터 황제의 소질이라고는 전혀 보이지 않는 점에서 문제가 시작되지만......

 

후에 "명상록"이라는 저서를 남길 만큼 철학적 성찰이 강했던 그가 왜 이런 후계자를 선택했을까~

자신이 세상을 떠난 후 아들로 인해 벌어질 일들을 그는 과연 예상하지 못한 것일까?

자신의 치정 기간 동안 그는 황제의 직위에서 자신의 역할에 충실했지만 마지막에는 그 역시도 결국은 자신의 아들로 황제의 자리를 잇고 싶었던 아버지였던 것이라고 밖에는 생각할 수 없다

 

그 유능한 황제 아우구스투스 역시도 끝까지 자신의 핏줄을 황제의 자리에 앉히기 위해 끝까지 힘을 기울였고 티베리우스를 징검다리 황제로 만들면서까지 핏줄에 연연했으니 말이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야말로 로마제국의 쇠퇴기를 가져오는데 가장 큰 기여를 한 인물이라고 생각된다

 

그의 사후~ 아들 콤모두스가 로마의 황제로 즉위한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콤모두스 황제의 즉위는, 콤모두스 자신에게도 로마제국 국민들에게도 불행이었다  

그에게는 황제로서의 자질은 전혀 없었다

그의 아버지의 안일한 대응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그의 암살 기도라는 죄명으로 처형된다

 

자신의 누나를 처형함을 시작으로 원로원의원, 매형과 매제를 처형한다

콤모두스의 시대는 근위대 대장들이 권력을 휘두르며 국정을 안과 밖에서 어지럽힌다

많은 사람들로부터 자신의 황제 자리를 지키기 위해 그들을 처형했던 이 젊은 황제는 자신의 애첩과 부하들의 손에 암살당하면서 31세의 한창나이에 아버지의 뒤를 따른다

 

콤모두스가 암살당한 후 당연한 결과지만 로마는 지난 황금기를 뒤로하고 암흑의 내란 시대로 접어든다

이름을 일일이 거론하기도 힘든 만큼 많은 사람이 황제를 자청했고 또 다른 세력들에게 암살당하거나 내전 중에 사망하거나 자살하는 일이 일어났다  

이런 내란을 잠재우고 마침내 황제의 자리에 오른 이가 세베루스이다

내전의 중심에는 항상 군이 있었다

황제가 작은 틈만 보여도 군에서는 자신들의 사령관을 황제로 옹위했고,

앞선 경우에도 이런 식으로 황제의 자리에 오른 이가 적지 않아 있으니 뭐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어느 나라에서 나 쉽게 볼 수 있는 일이니까~  

현대에서도 우리는 많은 나라들에서 군부를 둥에 업고 독재를 행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하지만 고대 로마에서 현대의 이러한 국가들에서도 문제는 권력이 오로지 1명에게 집중되어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분산화된 권력을 한 곳에 모아 보다 효율적으로 나라를 통치하기 위해 시작되었던 제정이라는 제도의 구멍이 드러나는 것이었다 

 

이후 황제의 자리에 오른이가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이다

그는 100여 년 만에 첨으로 로마 군인의 봉급을 인상하고, 군 복무 중에 결혼을 인정하는 등 앞서의 황제들에 비해 피격적은 대우를 해준다

하지만 그의 이런 처사는 로마군을 약하게 만들었고 로마의 쇠망에 기여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쿠가와 이에야스 세트 - 전32권 (2023년 최신쇄)
야마오카 소하치 지음, 이길진 옮김 / 솔출판사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늘 도서관에 갈 때면 서고를 한 줄 가득 채운 이 책이 눈에 띄었었다

하지만 방대한 양에 놀라 도저히 엄두를 낼 수 없었던 책

그렇게 벼루기를 1년

드디어 작년 6월 말 1,2권을 읽기 시작했다

하지만 시작부터 수월하진 않았다

어려운 일어 지명이며 인명 한자의 뜻도 알아보며 읽어야 했기 떄문에 기대했던 속도는 낼 수 없었다

그럭저럭 12권까지 읽었을 때 추석 연휴

명절이라 오신 작은 아버지께서 서 이 책을 보시면서 자신도 읽었다고 하시면 시작된 둘의 대화 ㅎㅎ

공감대 형성

평소 책을 많이 읽으신다는 것은 알았지만 이것까지 읽으셨을 줄은 몰랐다

둘이 노부나가며 히데요시에 대한 1시간 정도를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누었다

하지만 역시 명절이라 진도는 영 부진했다

중간에 간간이 쉬기도 하며 작년 12월 크리스마스를 며칠 앞두고 대망의 32권을 읽었다

늘 3권씩 빌려오다 그날은 달랑 한 권을 들고

6개월간 책을 고르는 방법을 잊은 듯 

늘 무의식적으로 같은 서간에서 책을 가져왔으니

그렇게 읽는 동안 내게 새로운 일본을 그리고 우리나라의 원흉 히데요시를 알게 해준 책

이젠 일본사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공부가 되어있어 자주 보는 일본 에니나 영화를 보면서 그들의 역사적 배경을 어느 정도 아니 이해가 쉬워 날 뿌듯하게 만든 책이다

지금 일본 문화가 들어오고 있는데 우리와 다른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과 지식을 주는 책이었다

더불어 나의 지적 자만을 채워주기도 한 고마운 책이기도 하다

일본에 관심이 있으신 분이라면 적극 추천

하지만 방대한 양덕에 소장 엄두는 도저히 내지 못 해서 아쉬움을 남기는 책이기도 했다

지금은 그 후유증이란 핑계로 자기 위로하며 한 달째 책을 손에 잡지 않고 있다가 근래에 10년 전에 보다 덜 읽은 일리아드를 붙들고 늘어지는 중 ㅎ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마인 이야기 10 -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10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200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로마인 이야기를 읽은 지도 괘 지났다

1년에 1권씩 나오는 책을 기다려 읽는 것도 너무나 행복했다

지금 생각하면 늘 책을 고르는 것은 우연이었다

그냥 눈에 띄는 책을~ 대부분의 사람들은 유행하는 책 흔히 말하는 베스트셀러를 많이 읽는다

 

베스트셀러를 찾아 읽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많은 사람들이 선택하여 읽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을 테니까~~

그러고 보면 내가 가장 좋아하는 베스트셀러 작품이 이 로마인 이야기일지도 모른다

솔직히 나는 베스트셀러에는 왠지 모를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 이상한 취향의 소유자이다

(남들이 다 이상하다고ㅎㅎ 솔직히 나도 인정한다)

 

예전에 다 읽은 책을 다시 한번 읽고 그때는 남기지 못한 리뷰를 남기니 감회가 새롭다

10권의 부제는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이다

우리는 이 말을 너무나 잘 알고 있다

현재 서구문화 특히 유럽 문화를 이야기함에 로마를 빼고는 이야기가 되지 않는다

 

로마인들은 자신들이 군사적으로 점령한 땅을 단순하게 식민지로서 세금이나 거둬가고 주민들을 착취하는 것이 아니라 속주라는 이름으로 그들을 통치하고 대부분은 자치행정에 맡겼고 속주의 주민들에게도 로마인이 될 수 있느 기회를 주었다

그 대표가 지금의 프랑스를 위주로 하는 갈리아인들일 것이다

이 갈리아인들은 카이사르에 의해 대대적으로 참패를 당한 후 더 이상 로마의 적이 아니라

지금으로 말하자면 갈리아계 로마인이 된다(한국계 미국인이나 한국계 일본인처럼)

 

이렇게 문화적으로도 로마인들은 오늘날의 유럽인들을 대부분 로마인으로 만든다

이런 소프트웨어적인 것뿐만 아니라 하드웨어 즉 눈에 보이는 건축물들 또한 아프리카부터 중동아시아까지 로마의 인프라는 이어져있고 로마가 역사 속으로 사라져버린 지금도 유적이라는 이름으로 우리는 로마인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우리가 흔히 아는 원형경기장 콜로세움, 수많은 황제들의 이름이 붙은 대형 목욕탕, 항만, 성벽, 판테온을 비롯한 신전들, 군단을 위해 건설했던 군단 기지 그리고 가장 거대했고 아직도 현대인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고 수많은 이름의 가도, 즉 현대로 말하자면 도로이다

 

예전에 "EBS의 세계테마기행"이라는 프로에서 첨으로 다뤘던 나라가 이탈리아였다

이 프로의 시작 부분에 첨 나온 것이 바로 아피아 가도였다

아직도 그 장면이 생생하게 기억난다

"저것이 그 유명한 아피아 가도구나~~" 늘 글이나 사진으로만 보던 아피아 가도를 영상으로 보니 더욱 로마인들이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로마인들은 사회지도층들이 자신과 자신의 가족들만을 위해 부를 축적하고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부로 사회적 사업을 많이 했다

(세금 못 떼어먹어서 안달인 우리나라의 부자들과는 뇌구조 자체가 틀린 사람들인 것 같다)

황제가 되면 먼저 하는 일이 이런 사회적 인프라를 건설하는 일이었을 정도니까~~

물른 이런 사회적 인프라를 건설하는 일은 황제나 사회지도층들의 자기 과시욕도 많이 작용했다  

 

그리고 그들은 단순히 새로 만드는 것에 그치지 않고 보수 관리에도 열과 성을 다했다

단순히 한번 짓고 부수고 다시 짓는 것이 아니라 한번 지은 것은 오래도록 사용하기 위함인 것이다

자신들에게 돌아오는 것이래 봐야 고작 자신이 건축하거나 보수한 인프라들의 이름에 자신들의 성이 붙는 것뿐인데 말이다

그렇게 보존된 인프라들은 지금도 사용하고 있고 또한 유적이라는 이름으로 많은 관광객들을 그 지방으로 불러들이고 있는 것이다

 

며칠 전 시내에 나갈 일이 있어 버스를 탔는데 또 도로를 다시 깐다고 부산을 떨고 있었다

내 기억에 아마 일 년에 한 번 이상은 있는 일이다

그 옛날 로마인들이 이런 모습을 보면 뭐라고 할지 참 궁금해지곤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마인 이야기 9 - 현제賢帝의 세기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9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200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로마인 이야기 9권은 현제의 시기이다

6권에서 아우구스투스가 팍스로마나, 로마의 평화를 위해 기초작업을 했다면

9권에서 다루는 5헌제의 시기야말로 팍스로마나가 빛을 발하는 시기인 것이다

로마의 5현제에 대해서는 자세히는 몰라도 어렴픗이는 알고 있었다

막연하게 5명의 정치를 잘한 황제들이 나라를 잘 통치했던 시대라고

하지만 다시 말하면

황제들은 피곤하고 힘들었고 그 대가로 로마의 시민들은 정치적으로나 경제, 사회면에서 두루 안정을 누렸던 시기라고 하는 것이 맞는 표현일지도 모른다

 

오현제의 시작은 네르바 (재위 96∼98)를 시작으로  트라야누스 (재위 98∼117), 하드리아누스(재위 117∼138), 안토니누스 피우스 (재위 138∼161), 오현제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명상록으로도 유명한 철인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재위 161∼180)까지다

기간으로 따지자면 서기 96년부터 180년까지 85년 정도의 기간이다

 

3년간의 짧은 통치기간이지만 최선을 다해 로마의 안정을 위해 노력했던 네르바가 죽자 트라야누스가 원로원의 승인을 얻어 황제의 자리에 오른다 

원로원의원이기는 하지만 그는 로마 본국이 아닌 속주 출신이다

아이러니하게도 5현제 중 네르바를 제외한 4명이 모두 속주 출신들이다

그리고 이들은 피로 이어진 (아우구스투스가 그토록 원했던) 관계가 아닌 원로원에 의해 당시에 가장 유능하다는 승인을 받아 전황제의 양자로 들어가서 황위를 이어받는 형식으로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

그런 면에서 어쩌면 5현제가 정치를 잘 한 것은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물른 이들을 선택한 원로원의 안목 또한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이들은 안과 밖에서 많을 일을 하고 또한 많은 것들을 이뤄낸다

이 책에서는 주로 트리야누스와 하드리아누스, 안토니누스 피우스 이 세 명의 황제들의 업적을 주로 다루고 있다

오현제 가운데 가장 유명한 철인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에 대한 이야기는 상대적으로 적다   

 

지난번부터 명상록을 하루마다 조금씩 읽고 있다

이 철인 황제는 스스로가 유명한 스토아학파이다

현제라고 불렸으니 분명 통치기간 내내 황제로서의 삶을 고달프고 힘겨웠을 것이다

고단한 삶을 지적 향상으로 보상받으려고 한 것일까? 

로마의 황제에 올라서 물른 뛰어난 정치 능력으로 국정을 잘 운영했지만 결코 쉽지만은 않았을 것이다

명상록을 읽으면서 드는 생각은 그가 자신을 다잡기 위해 얼마나 힘겹게 노력을 했을까 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01 | 20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