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의 20년 - 엄마의 세계가 클수록 아이의 세상이 커진다
오소희 지음 / 수오서재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한민국에서 엄마로 살아간다는 것은 마치 마라톤을 완주해야하는 선수처럼

비장한 각오가 필요하다. 밥 해먹이는 가정주부에서 시댁이며 친정에 적절한 효도도

해야하고 수많은 정보를 취득하여 아이에게 적절한 교육을 코디해야하는 능력까지

발휘해야하는 전천후 전사가 되어야 한다.

 

                            

 

 

어려서는 딸로 태어났다고 서운함을 견뎌야했고 교육은 남자하고 똑같이 받아도 사회에서는

승진부터 월급까지 불이익을 받았던 기억들. 그리고 사랑과 결혼으로 드디어 차별이 끝났나

싶었는데 엄마가 되는 순간 다시 운동화끈을 조이면서 완벽한 양육에 뛰어들게 된다.

'20년 동안 뜨겁게 사랑하고 20년 후 쿨하게 독립하라'는 저자의 구호는 집착의 대한민국

엄마에게 던지는 화두이다.

 

 

 

 

 

넘치면 모자람만 못하다는 말은 아이를 키우는 일에도 적용된다.

나는 비교적 쿨하게 아이를 키웠다고 생각했다. 비록 아이를 강남의 학원으로 나르고 데려오는

일들을 하면서도 나는 다른 엄마에 비하면 정말 해준 것이 없는 것처럼 느꼈다.

이제 그 아이가 성년이 되어 가만히 생각해보니 어차피 아이는 나의 그런 노력없이도 자신의

길을 찾아갔던 것 같다. 물론 아주 조금의 영향은 있었을테지만.

'좋은 엄마'란 아이에게 모자란 것은 채워주고 넘치는 것은 덜어주는 것이란 말에 공감 한 표!

 

 

 

 

 

그러고보면 나는 경력단절의 시간들을 짧게 보내고 각고의 노력으로 다시 사회생활을 시작했었다.

물론 자기완성이니 하는 거창한 의미 보다 먹고 살아야 하는 일이 시급했기 때문이긴 했다.

대학을 졸업하고 사회생활을 시작할무렵은 여성에게 참 혹독한 시절이었다.

결혼하면 사직하겠다는 각서를 쓰는 경우도 있었고 당연히 출산휴가같은 건 기대할 수도 없었다.

여성들은 아이를 임신하면 출산에 임박해서 거의 퇴직을 해야만 했다.

그러고 지옥같은 양육의 시간을 보내고 다시 사회에 복귀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했었다.

그런데 문제는 30여 년이 지난 지금도 이문제가 완전히 해결이 안되었다는 것이다.

견디다 못해 퇴사를 해도 문제, 끝까지 버텨도 문제.

그리고 참 더 비참했던 것은 남성위주의 사회구조에서 남성은 물론 여성의 적이 여성인 경우였다.

 

 

 

 

 

이 책은 페미니즘이란 단어가 비죽 사회의 모서리를 뚫고 올라오던 시대에서도 여전히

독립하지 못하는 수많은 엄마들에게 쿨하게 졸업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어차피 사회에서의 모순들은 시간이 필요하고 인내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하지만 엄마로서 아이를 품안에서 떠나보내는 일은 가능한 일이 아닐까.

아이의 인생에 집착하고 개입할 수록 자신의 인생은 복속되고 스스로 갇히게 되는 것이라는

것을 인지해야한다. 그래야 진정한 독립이 된다. 아이도 엄마도.

 

'엄마의 세계가 클수록 아이의 세상이 커진다.'라는 말을 많은 엄마들이 새겼으면 좋겠다.

세 살짜리 아들을 데리고 배낭여행을 할만큼 배포가 컸던 엄마였다.

그 수많은 발걸음에서 느꼈던 지혜들이 얼마나 많을 것인가.

나 역시 여행만큼 좋은 교육은 없다고 생각한다.

스스로가 소중한 존재임을 깨닫고 아이를 품안에서 내려놓을 수 있을 때 비로소

'엄마'가 아닌 '나'가 될 수 있음을 깨닫게 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