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에서 살 생각인가?
이사카 고타로 지음, 민경욱 옮김 / arte(아르테)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화성이란 단어 때문에 이사카 코타로가 SF를 쓴 줄 알았다. 워낙 다양한 장르의 문학을 다루는 작가이다보니 엉뚱한 생각을 한 모양이다. 하지만 내용 일부를 놓고 보면 SF적인 상상력이 전혀 없다고도 할 수 없다. 평화경찰이란 설정이 특히 그렇다. 물론 소설 속에서도 이야기한 것처럼 마녀 사냥에 더 가깝지만 말이다. 최근의 디스토피아 소설에서 점점 강해지는 감시사회의 모습을 감안하고 얼마 전 한국의 모습을 떠올리면 이것이 아주 비현실적이지만은 않다. 오락소설을 주로 쓰는 작가가 이 부분까지 깊이 파고들지는 않지만 읽는 동안은 많은 것을 생각했다.

 

상황과 사건, 사고를 먼저 보여준 후 화자를 등장시켜 이야기를 진행한다. 이 화자도 한 명이 아니다. 이런 시점의 변화는 독자로 하여금 다른 시각에서 이 사건들을 돌아보게 하고, 각 화자의 삶에 쉽게 다가가게 한다. 형사나 정의의 편이 이렇게 등장했다. 솔직히 처음에는 이 갑작스러운 화자 변경이 낯설었지만 그들이 들려주는 이야기에 집중하면서 현실을 좀더 잘 알게 되었다. 그리고 화자의 설명이나 화자의 시각을 통해 사건들을 보면서 앞에 나온 많은 사건들이 어떻게 된 것인지 알 수 있었다. 처음에는 그냥 툭 던져놓은 듯한 사건 보고가 하나로 묶이기 시작한 것이다.

 

이 소설의 가장 중요한 설정은 바로 평화경찰이다. 이름만 놓고 보면 아주 좋은 일을 하는 것 같지만 실제 이들이 하는 일은 일제 강점기의 그 유명한 특고들과 별 차이가 없다. 테러의 위험을 사전에 방지한다는 목적으로 사람들을 연행한다. 단순히 연행하고 조사만 한다면 문제가 적을 테지만 이들은 고문을 통해 없는 죄도 만든다. 당연히 이들에게 연행된 모든 사람들은 자신이 테러범이라고 자백하고 단두대에 목을 올린다. 중세 유럽의 단두대가 현대에 나타나 공개처형 방식으로 시민들의 눈앞에 펼쳐진 것이다. 이때의 분위기는 화자의 시선을 통해 잘 드러난다. 상당히 끔찍한 처형인데도 일부 시민들에게는 흥분하고 즐길 유흥거리가 되는 것이다. 이것을 단순히 비현실적인 작가의 상상력이라고 치부하기에는 현대의 대학살이 너무 많다.

 

감시사회의 공포는 독재사회의 공포처럼 당사자가 아니면 쉽게 느낄 수 없는 경우가 태반이다. 이 소설 속 시민들은 평화경찰이 잡은 테러범을 그대로 믿는다. 경찰이 나쁜 짓을 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시각의 변화는 주변의 평범한 시민들이 잡혀가고, 처형되면서 시작한다. 작은 의심이 자라지만 이것을 입증할 자료가 없다. 한 개인이 이 거대한 공조직을 상대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하지만 정의의 편이라고 불리는 히어로는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한다. 특히 히어로가 화자로 등장한 편에서 정의와 위선에 대한 갈등과 고민은 한번쯤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점점 관계가 복잡해지는 현실을 생각하면 더욱 더.

 

평화경찰은 점점 흉악해지고 지능화되는 사회를 지킨다는 명목에서 만들어졌다. 선의에서 출발했지만 실제 이것을 기획한 인물과 그가 선택한 인물들의 특징은 가학성을 지닌 경찰일 뿐이다. 물론 정의감에 불타는 경찰이 없지 않겠지만 이 조직 안에서 이런 인물이 버텨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왜냐고? 고문하는 경찰을 보고 참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고문과 평화경찰을 보면서 한국 현대사가 떠오른 것은 결코 먼 이야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탁 치니 억하고 죽었다’ 같은 유명한 말이 있는 나라니까. 아마 이때도 우린 소설 속 히어로 같은 인물을 바랐는지 모르겠다.

 

말도 되지 않을 것 같은 설정과 전개이지만 충분히 가능성 있는 이야기다. 고문하는 장면을 외부에 알리겠다고 했을 때 그들이 보여준 반응은 조작된 정보라는 대응이다. 왠지 낯익은 장면과 설정들이다. 일본의 과거 속에서 찾아야 한다면 우리는 현재 속에서 찾을 수 있는 장면들이다. 그래서인지 이 비현실적인 설정에 금방 빠졌다. 그리고 미스터리 같은 몇 가지 설정을 넣어 마지막에 한꺼번에 확 풀어버린다. 이런 것이 가능한 것은 앞에 깔아놓은 복선과 설정들을 잘 엮었기 때문이다. 오랜만에 읽은 이사카 코타로였지만 역시라는 반응할 수밖에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