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마의 증명
도진기 지음 / 비채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판사에서 변호사로 변한 작가의 첫 작품집이다. 이 단편집에 실린 단편들은 대부분 다른 책에 실렸던 적이 있다. 나에게 다행이라면 가지고 있지만 읽지 않은 단편집 속 작품들이란 것이다. 물론 <미스테리아> 같은 책은 현재 가지고 있지 않다. 그리고 이 책의 마지막에 작가는 이 작품들에 대한 설명을 간단하게 덧붙여 놓았다. 개인적으로 모든 단편을 읽고 난 후 봤을 때 그렇게 많은 단서를 제공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그 이야기 속에 눈길을 끄는 이야기 하나가 있었다. 현실 사건을 바탕으로 쓴 소설이 있지만 발표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 이야기를 보는 순간 무슨 사건일까? 언제쯤 나올까? 하는 호기심과 기대로 가득해졌다.

 

전직 판사였지만 그가 법정극을 그렇게 많이 쓰지는 않았다. 그가 쓴다면 가장 잘 아는 부분이 될 텐데 그는 먼길을 돌아갔다. 이 작품집 속에서도 법정극이라고 부를 수 있는 작품은 두 편 정도다. 표제작인 <악마의 증명>과 다른 작품의 이름을 빌린 <구석의 노인>이다. <악마의 증명>은 그 유명한 모리우치 세이치의 <인간의 증명>을 자연스럽게 떠올려준다. 하지만 이야기의 기본은 그것과 다르다. 악마의 증명은 살인자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일사부재리의 원칙을 트릭으로 이용한 것을 두고 말한다. 같은 사건으로 두 번 기소할 수 없다는 그 법칙 말이다. 작가는 미묘한 서술 트릭을 사용하여 이 악마의 증명을 깨트리는데 조금 억지스러운 부분이 있다는 생각이 든다.

 

<구선의 노인>은 하나의 살인사건을 변론하는 젊고 패기만만한 변호사를 통해 이야기한다. 자신의 논리로 사건을 잘 해결해나가는 그의 모습은 멋지다. 하지만 그가 놓치는 것이 있다. 이것을 지켜본 한 노부인의 모습은 안락의자 탐정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변론하는 동안 본 동영상과 자료와 피의자의 머리와 반지 등을 가지고 그녀가 추론해낸 사실은 인생의 다양한 경험이 없다면 불가능한 것이다. 물론 이 추론이 사실인지는 알 수 없지만 심정적으로 더 납득할만한 내용인 것은 분명하다. 재미난 것 하나는 이 할머니의 이름이 진짜 작가 어머니의 이름이란 것이다.

 

호러물로 구분할 수도 있는 작품도 두 편 있다. <외딴집에서>와 <죽음이 갈라놓을 때>다. <외딴집에서>는 시점을 이용해 반전처럼 공포를 극대화시킨다. 짧은 분량이지만 자극적인 장면과 연출로 예상을 빗나간 모습을 보여준다. <죽음이 갈라놓을 때>는 한 살인자의 수기 형식인데 친구와 친구의 애인을 살해한 자의 이야기에 몰입하는 정도에 따라 그 서늘함이 달라진다. 눈에 보이는 객관적 사실보다 무당이나 귀신이 씌였다는 등의 초자연적인 현상에 집중하면 사건의 핵심이 완전히 바뀐다. 이런 불안감과 서늘함을 도입부와 마무리를 맡은 판사의 심리와 행동이 배가시킨다.

 

판타지로 분류해도 큰 무리가 없을 두 편이 있다. <정글의 꿈>과 <시간의 뫼비우스>다. 사실 <정글의 꿈>을 읽을 때는 연쇄살인을 기대했다. 추리소설이란 장르와 분위기를 보았을 때 이전에 읽었던 작품과 같은 것이 아닐까 미리 짐작한 탓이다. 이 기대를 넘어선 것은 좋은데 다른 설정으로 바뀐 것은 조금 아쉽다. <시간의 뫼비우스>는 가장 길고 자전적인 요소가 많지 않나 생각한다. 같은 시간의 삶을 백여덟 번이나 산 남자의 이야기다. 판사였지만 너무 꼿꼿해서 혹은 여유가 없어 피의자 신분으로 떨어진 그의 이야기는 눈여겨 볼 대목이 많다. 판사를 하면서 친구가 한 명씩 떨어져나갔다고 할 때 제대로 된 판사란 이렇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영화 <사랑의 블랙홀>이 하루가 반복된다면 이 소설은 30년이란 것이 다르고, 자신이 변화를 만들어낼 방법이 전혀 없다는 것이다. 단순히 같은 경험을 다시 할 뿐이다.

 

<선택>과 <킬러퀸의 킬러>는 다른 작품들보다 추리적 요소가 강하다. <선택>의 변호사는 <악마의 증명> 속에서 기발한 발상을 한 호연정 검사다. 작가의 표현을 빌리면 더 많은 작품의 주인공으로 만들고 싶었지만 자신의 내면 속 모습이 부족해서 아쉬게 많은 출현을 못했다고 한다. 폭우와 고속으로 달리는 차, 단숨에 왼손목의 동맥을 자른 것과 추락한 것들이 엮어 내놓는 이야기는 법리 문제가 아니다. 강한 모성애와 추론의 영역이다. 사건을 해결하는 방식도 법정이 아니다. 감성의 영역이다. <킬러퀸의 킬러>는 좀 더 큰 스케일을 생각했다가 반전에 놀란 작품이다. 액션을 기대했는데 추리작가의 놀라운 추리 때문에 그 기대가 사라졌다. 현실 속 살인은 바로 이런 것이 아닐까? 생각했다. 대부분 우발적이고 감정적인 순간에 의해 발생한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더 떠올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