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계급투쟁 - 난민과 테러의 진정한 원인
슬라보예 지젝 지음, 김희상 옮김 / 자음과모음 / 2016년 3월
평점 :
절판


작년 전 세계를 뒤흔든 사건이 하나 있었다. IS의 파리 테러 사건이다. 중동 지역에서 일어났던 테러가 유럽의 심장부에서 발생한 것이다. 이 사건을 두고 전 세계는 파리에 애도했고, IS를 규탄했다. 뉴스를 잘 보지도 듣지도 않는 나에게도 이 사건은 충격이었다. 알 카에다의 9.11 테러 이후 가장 많이 전 세계의 시선을 끈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며칠 동안 언론은 파리 테러 사건으로 도배가 되었다. 파리를 추모하는 수많은 보도가 이어졌다. 그때는 아무 생각없이 이 상황을 받아들였다. 왜 이런 테러가 일어났는가에 대한 분석은 뒤로 하고.

 

시리아 난민 문제를 알게 된 것도 얼마 되지 않는다. 이슬람 난민이 유럽 각국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뉴스를 그렇게 심도 있게 방송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단발적인 테러가 며칠이나 뉴스를 도배하다시피 한 것과 대조적인 보도다. 이 보도에서도 각국의 반응과 대응은 나오지만 왜 이런 일이 발생하게 되었는지 심층 분석 보도는 없다. 그 지역의 정치와 문화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에게 이 상황은 단순하게 받아들여질 수밖에 없다. 예전에 베트남 난민처럼. 기억을 더듬어 보면 지난 역사에 수없이 많은 난민들이 안전한 나라를 찾아 자기 나라를 탈출했다.

 

현재 유럽의 가장 큰 문제 두 가지는 난민과 테러다. 테러의 경우 올해에도 벨기에 브뤼셀 공항에서 발생했다. 프랑스의 경우 단순하게 이슬람 이민자가 많아 그렇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브뤼셀은 그런 상황도 아니다. 인터넷을 검색하면 몇 가지 이유가 나오는데 크게 공감할 만한 것은 눈에 금방 들어오지 않는다. 그 대신 IS와 테러에 대한 즉각적인 규탄과 반격의 목소리가 나오고, 다른 한 편에서는 이슬람에 대한 거부 반응을 쏟아내고 있다. 대부분의 선량하고 무고한 이슬람 이민자들은 움츠리고 있고, 자신들의 무고함을 말해야 한다. 이 상황은 이슬람 근본주의자와 기독교 근본주의자가 아주 바라는 상황이기도 하다.

 

지젝은 이 난민과 테러에 대해 언론의 일반적인 접근 방식을 거부한다. 언론이 IS와 이슬람의 문제로 축소하고 왜곡할 때, 혹은 인도주의 시선으로 볼 때 이것이 잘못되었다고 말한다. 이 상황을 바라보는 좌파에 대한 질타도 잊지 않는다. 좌파의 금기를 깨자고 주장한다. 유럽 중심적 비판을 끝내야 하고, 고유의 생활방식의 수호가 그 자체로 파시즘적 징후나 인종차별적이라는 생각에 논의 자체를 회피하는 것과 이슬람에 대한 일체의 비판을 거부하는 태도와 정치 세력화한 종교를 광신과 동일시하지 말고 이슬람 교도를 전근대적이고 비합리적인 광신도로 보지 말아야 한다고 말한다. 이 중 몇 가지는 나에게도 해당되고, 대부분은 우파에 의해 정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프레임이다.

 

지젝은 ‘아프리카는 결코 자율적으로 사회를 바꾸지 못할 것이 분명하다. 왜? 서구인들이 그렇게 되지 않도록 방해하기 때문이다.’라고 말한다. 미국과 유럽과 중국 등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그 배후에서 싸우고 있기 때문이다. 당연히 IS와 학살과 난민 등은 이런 현실에서 발생한다. 살아남기 위해 떠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파리 테러 이후 한 난민의 인터뷰는 시사하는 바가 아주 크다. “파리 같은 도시가 이런 비상사태에 빠져 몇 년은 아닐지라도 몇 달 동안 일상생활의 평온함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다고 생각해보세요. 그게 바로 우리가 도망친 곳입니다.” 난민이 테러리스트가 아니라 테러리스트의 희생자임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다. 정치적 목적에 의해 난민 속에 테러리스트가 있다고 주장하면서 왜곡하고 물타기 하는 정치세력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그 잘못과 모순을 알려야 한다.

 

난민 문제에 있어 “우리는 난민과 인도적 동정을 한데 묶는 연결고리를 끊어야 한다. 난민을 도우려는 자세는 그들이 겪는 아픔에 대한 동정에 뿌리를 두어서는 안 된다. 우리는 돕는 것이 의무이기 때문에 도와야 한다. 제발 일체의 감상일랑 떨쳐버리자.”라고 말한다. 동정과 아픔에 대한 감상은 일시적일 뿐이다. 테러에 대한 심판에서도 올바르게 심판하자고 말한다. 테러로 누가 이득을 보는가? 하고. 그리고 계급투쟁을 다시 의제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착취당하고 억압받는 자들의 세계적인 연대를 강조하는 것뿐이다. 이런 전체적 시야 없이, 파리 테러 희생자들과의 비장한 연대감은 윤리의 가면을 쓴 모욕에 지나지 않는다.’ 이 말 뒤에 이 세계적인 연대가 유토피아일 수 있고,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실제 패배할 것이고, 패배함이 마땅하다고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