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볼 수 없는 모든 빛 1
앤서니 도어 지음, 최세희 옮김 / 민음사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5년 퓰리처상 수상작이다. 퓰리처상을 받은 소설을 읽는 것이 오랜만이다. 예전처럼 특정한 상을 수상한 작품들을 찾아서 읽지 않다보니 가끔 만난다. 물론 아직도 어떤 문학상들은 나의 관심의 대상이다. 읽는 것은 나중의 일이고 나오면 위시리스트에 늘 올려놓는다. 어쩔 수 없는 자연스럽고 자동적인 반응이다. 이 책의 선택도 그런 연장선상에 있었다. 잘 모르는 작가의 장편을 덥석 잡고 읽기에는 사놓은 책들이 너무 많다. 이런 기회는 또 한 명의 작가를 기억하게 만들고, 사고 싶은 책을 늘려주는 역할을 한다. 언제나처럼.

 

구성은 간단하다. 현재와 과거의 시점가 점점 다가와 만나고, 각 시점에 주인공 두 명이 번갈아 가면서 이야기를 들려준다. 물론 이 사이에 다른 인물들이 잠시 끼어들지만 기본적으로 이야기를 끌고 가는 것은 한 명의 눈먼 프랑스 소녀와 어린 나이에 전쟁에 끌려온 독일 소년이다. 소녀의 이름은 마리로르이고, 어릴 때 갑자기 시력이 나빠져 눈이 멀었다. 소년의 이름은 베르너이고, 가난한 탄광촌에서 부모없이 자란다. 마리로르가 열쇠 장인 아버지와 단 둘이 산다면 베르너는 아이들의 집이란 고아원에서 동생 유타와 함께 산다. 이 자매를 엘레나 아줌마가 돌봐준다.

 

두 아이의 이야기가 교차하면서 진행되지만 시간은 과거에서 현재로 다가온다. 다른 두 시간은 점점 가까워진다. 그리고 만난다. 이야기는 생말로에 연합군이 폭격을 가하는 장면에서 시작한다. 1944년 8월 7일이다. 과거의 시간은 성큼 성큼 달려온다면 현재의 시간은 하루씩 차근차근 진행된다. 당연히 이야기의 비중은 과거에 집중되어 있다. 현재의 사건이 어떤 과거와 역사를 가지고 있는지 보여주면서 그 시대의 모습과 광기를 차분히 그려낸다. 소녀의 시간이 패배국 국민의 입장에서 그려진다면 소년의 시간은 나치의 광기가 그 극에 달했을 당시의 일면을 극대화시킨다.

 

과거는 1934년부터다. 소녀는 아버지가 근무하는 박물관에서 하나의 전설을 듣는다. 전설의 133캐럿짜리 블루 다이아몬드 ‘불꽃의 바다’ 이야기다. 이 다이아몬드를 가진 자는 영생을 얻지만 그 주변은 불행이 다가온다는 전설이 있다. 처음에는 단순히 재미있는 전설로만 생각했다. 하지만 이 전설을 믿는 사람이 등장하고, 그 다이아몬드의 가치를 아는 사람이 끈질기게 찾아다닌다. 이것은 이 소설을 구성하는 또 하나의 자그마한 축이다. 그리고 시간은 흘러 독일이 프랑스를 침공한다. 우리가 알듯이 프랑스는 항복하고, 소녀와 열쇠 장인 아버지는 다른 곳으로 피난 간다. 첫 번째 피난처는 그 다이아몬드를 전해준 박물관장이 말한 곳이다. 그 다음 피난처는 1차 대전 이후 마음에 상처를 입은 아버지의 작은 아버지가 살고 있는 생말로다.

 

소년은 과학에 관심이 많다. 그 당시에 귀했던 라디오를 잘 고친다. 그 시절은 나치의 망령이 전 독일을 휘몰아치던 시기다. 이 재능을 눈여겨 본 귀족 한 명이 소년에게 나치의 청년 정치 교육원에 입학하라고 말한다. 지식에 목말라 있던 베르너는 입학을 신청한다. 합격이다. 그 이전까지 소년은 동생과 함께 자신이 만든 라디오로 프랑스 방송을 듣는다. 과학에 대한 이야기가 흘러나오는 프랑스 방송이다. 나치의 광기가 아이들에게까지 파고들던 그 시절 이 남매는 다행스럽게도 이성을 유지한다. 그랬던 오빠가 갑자기 나치의 교육원에 가고, 자신들의 라디오를 부셨다는 사실에 동생은 놀란다. 다정했던 둘 사이에 금이 생긴다.

 

생말로에 도착한 소녀의 일상은 파리와 별다른 차이가 없다. 소녀의 아버지는 파리에서처럼 생말로의 도시 모형을 만든다. 눈먼 딸이 홀로 다닐 수 있게 만들기 위해서다. 소녀의 작은 할아버지 에티엔은 광장공포증이 있어 밖으로 나가지 못한다. 마네크 부인이 늘 그의 곁에서 돌봐줬다. 이 구성원은 독일의 지배 아래에서도 이전과 별 차이 없이 살게 된다. 아버지가 전보 한 통을 받고 파리로 돌아가다가 잡혀 어딘가로 사라지기 전까지. 그 이후도 소녀는 그녀를 돌봐주는 마네크 부인과 에티엔 할아버지 덕분에 큰 불편함 없이 산다. 재미있는 것은 마네크 부인이 또래 할머니들과 함께 점령군을 골려주고, 연합군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레지스탕스 활동을 하는 것이다.

 

학교에 입학한 베르너는 강한 군사 교육을 받는다. 이때 수학에 탁월한 실력을 보여준다. 이것이 학교의 과학자 눈에 들어간다. 과학자는 그를 시험한다. 그가 연구하는 것은 삼각측정법이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전파가 발생한 장소를 알 수 있다. 이 방법은 나중에 베르너로 하여금 파르티잔 활동을 하는 사람들을 찾아내는 전문가가 되게 한다. 그리고 이 학원에서 친구 한 명을 사귄다. 프레데리크다. 새를 좋아하는 소년이다. 눈이 나빠 학원에 올 수 없는데 테스트 시험지를 모두 외워 입학시험에 통과했다. 베르너처럼 그도 아직 이성이 남아 있다. 모두가 전쟁과 나치의 광기에 휩싸여 있던 시절이라 이성이 밖으로 드러나면 불편해질 수밖에 없다. 그의 이성이 광기를 몰아내던 한 순간 소년의 삶은 파괴된다.

 

이렇게 다른 환경에서 자라고 성장한 두 소년 소녀의 이야기가 빠르고 간결하게 진행된다. 이들이 만나는 것은 단 하루다. 책 소개처럼 이 하루는 우연의 산물이 아니다. 자신들은 알지 못하지만 인연의 고리로 연결되어 있다. 눈 먼 소녀가 상대적으로 평화로운 삶을 살았다면 전쟁과 광기의 소용돌이 중심에서 움직인 소년의 삶은 참혹하다. 그의 삼각측정법이 적을 찾아내는데 엄청난 활약을 펼치지만 그 결과는 잔인한 학살로 마무리된다. 독일군이 아니라면 멋진 활약이라고 칭찬할 뻔 했다. 그러다 실수를 한다. 실수는 그의 마음속에 불안감을 가져다준다. 이 불안감은 소녀에게도 마찬가지다. 레지스탕스 활동이 쉬울 리가 없다. 단지 그녀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사람들이 잘 돌봐주고 있을 뿐이다.

 

하루. 짧은 시간이다. 하지만 누군가에게는 영원히 잊을 수 없는 날이 된다. 누군가는 이 하루가 자신의 삶을 바꾸게 한다. 작가는 잔인하고 참혹한 장면을 자세하게 보여주지 않고 간결하게 그려낸다.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사실들이다. 이 이후의 삶도 역시 간결하다. 그러나 그 여운은 길고 강하다. 어떻게 보면 흔한 후일담일 수 있는데 갑자기 강한 슬픔이 가슴을 강하게 두드린다. 눈시울이 붉어진다. 전쟁의 참혹함을 견디고 살아남았지만 그 영향력이 아직도 남아 있다. 30년이 지나도 그것은 쉽게 사그라지지 않는다. 그들의 일상을 짧게 보여주는데 그 평화로운 일상이 너무 거대해 보인다. 일상의 위대함이라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