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수호자 바스탄 3부작 1
돌로레스 레돈도 지음, 남진희 옮김 / arte(아르테)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낯선 도시에서 벌어지는 연쇄살인 사건을 다룬 소설이다. 스페인하면 떠오르는 몇몇 도시를 제외하면 거의 다 낯설지만 바스크 지방의 엘리손도는 특히 그렇다. 바스크 지방도 분리주의 운동 때문에 겨우 알고 있지 정확한 구분은 하지 못한다. 이 소설 속에서 바스크 지방 언어를 배우기 위한 학교가 잠시 나오는데 스페인 역사를 잘 모르는 사람에게는 굉장히 낯설 수 있는 모습들이다. 그리고 익숙하지 않은 도시가 나올 때면 늘 공간과 시간에 대한 개념 잡기가 어렵다. 이 소설처럼 장소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우에는 더욱더. 영화로 만들어지면 조금 더 이해하기 쉽지 않을까 생각한다.

 

엘리손도에서 소녀의 시체가 발견된다. 나바라 주 특수수사대 여형사 아마이아 살라사르가 현장으로 파견된다. 이때만 해도 이것이 연쇄살인사건이란 생각을 못했다. 하지만 다른 소녀의 시체가 발견되고, 다른 시체에 대한 정보가 나오면서 확실하고 분명해진다. 경찰서장은 아마이아를 반장으로 임명하고 사건을 해결하기 바란다. 엘리손도는 아마이아의 고향이다. 그런데 이 고향은 우리가 늘 그리워하고 가고 싶어 하는 그런 곳이 아니다. 그녀를 따스하게 맞이하는 언니들과 고모가 있지만 그녀의 잠재되어 있던 공포를 일깨울 수 있는 기억도 함께 머물고 있다. 범인을 찾는 일과 함께 그녀는 자신의 과거 공포와도 마주해야 한다.

 

작가는 긴장감을 고조시키기 위해 갈등을 억지로 만들지 않는다. 아마이아와 언니들과의 대화와 갈등 등은 다른 집에서도 볼 수 있는 것들이다. 하지만 이 갈등 속에 감춰져 있던 사실들은 완전히 다른 것이다. 소녀들의 시체가 발견되면서 연쇄살인이 분명해지고, 단서가 쉽게 밝혀지지 않을 때 아마이아의 기억 속에 잠자고 있던 아픔과 공포가 하나씩 깨어난다. 왜 자신이 이 마을을 떠나게 되었는지, 왜 그렇게 열심히 공부했는지 알려줄 때 이 소설을 지탱하는 하나의 줄거리에 조금씩 빠져든다. 그리고 그 갈등이 사실보다 자신이 보고자 하는 것에 의해 왜곡되고 뒤틀릴 때 현실의 또 다른 모습을 본다.

 

가장 중요한 이야기는 역시 소녀들의 죽음이다. 누가, 왜 죽였는가 하는 것부터 그녀들의 시체와 그 주변에 놓아두고 꾸며놓은 것이 과연 어떤 의미가 있을까 하는 것까지. 이것을 둘러싼 신화적 고고학적 해석은 이 소설을 읽는 또 다른 재미다. 신화와 전설 속 생명체 바사하운의 존재를 던져놓고 이런저런 가능성을 타진하는 설정은 판타지와 과학의 경계 속으로 우리를 이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소녀들이 죽었다는 것이고, 과연 누가 이런 참혹한 짓을 했는가 하는 것이다. 소녀들의 숨겨진 과거가 드러나면서 다양한 가능성이 파악되지만 그것이 모든 사실을 분명하게 알려주지는 않는다. 대신에 이야기 중간 중간에 하나씩 단서를 던져놓는다. 이 대목을 읽을 때면 왜 조사하지 않을까 하는 의문이 들기도 했다.

 

연쇄살인을 다루지만 영미권 소설과 다른 모습을 몇 가지 보여준다. 일단 언론이 이 소설에서는 완전히 배제되어 있다. 사람들이 말로 소식을 얻었다고 하지만 언론의 압박을 받는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수사에 참여하는 인원들이 많지 않고 그 과정을 그렇게 긴박하게 처리하지 않는다. 일본 영화나 소설이라면 수사본부가 차려지고 수많은 형사들이 현장을 뛰어다닐 텐데 겨우 몇 명만이 움직일 뿐이다. 단서를 구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탐문수사나 용의자와의 대화 등이 상당히 많이 절제되어 있다. 그래서 어느 순간에는 아마이아의 개인과 가족 이야기를 다룬 소설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기도 했다. 반면에 그녀가 FBI에서 연쇄살인을 공부했다는 사실은 미국 이외 지역의 형사들에게 가끔 등장하는 설정이기도 하다.

 

소설에서 가장 인상적인 문구는 “청소년의 미래를 보호할 능력이 없는 사회는 실패한 사회이다.” 란 것이다. 겨우 몇 명의 소녀가 죽었는데 이런 문장이 나온다. 그럼 우리 사회는 어떤가. 수학여행 중 차가운 물 속에서 그렇게 고통스럽게 죽어갔던 그 청소년들을 단 한 명도 구하지 못한 이 사회 말이다. 소설은 살인자를 찾아서 경찰들이 힘들게 뛰어다니지만 우리는 그 누구도 이것을 정확하게 파헤치려는 노력을 보여주지 않는다. 지겹다는 표현까지 사용하면서 잊으라고 강요한다. 아마이아 형사가 어릴 때 생긴 트라우마로 어떤 공포와 함께 살았는지 보여줄 때 그 가족들이 느꼈고. 느끼고, 느낄 아픔과 고통이 조금은 이해가 되었다.

 

최근 경찰들의 살인범을 잡는 방식이 점점 과학적으로 변하고 있다. 하지만 그 과학 이면에는 이성을 넘어선 무언가가 작동한다. 형사의 감이라는 표현으로 강조될 때 어떨 때는 수긍하지만 어느 순간은 억지라는 것을 알게 된다. 물론 이것은 우리가 이야기를 알고 있을 때 판단할 수 있는 문제다. 그럼 현실은 어떨까? 아마이아는 이것을 정확하게 하기 위해 수없이 사진과 자료를 읽고 본다. 현장도 다녀온다. 유사한 것과 다른 것을 찾고 기억과 무의식 속에 담아둔다. 이 무수한 정보들이 형사의 감이란 형태로 드러난다. 준비된 사람에게만 이것이 제대로 작용한다. 과학은 이것을 증명해줄 뿐이다. 속도감 있게 읽히는 다른 스릴러에 비해 조금 느슨한 느낌이 있지만 다음 편에 대한 기대는 사그라들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