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
앤드루 포터 지음, 김이선 옮김 / 21세기북스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열 편의 단편 소설이 실려 있다. 역자의 말처럼 어려운 문장은 없다. 하지만 번역 탓인지 아니면 깊게 몰입을 못한 탓인지 왠지 모르게 이야기 속으로 깊게 빨려 들어가지 못했다. 마지막 <코네티컷>의 앞부분을 읽을 때는 정말 감탄했다. 너무나도 분명하고 정확한 문장 때문이다. 이것을 보면 아마도 나의 집중력에 조금 문제가 있지 않았나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소설의 몇 편은 정말 흥미롭고 재미있었다. 그것은 <아술>,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 <외출>, <머킨>, <코네티컷> 등이다.

<아술>은 책날개의 작가 소개에 <아줄>로 나와 있다. 어느 것이 더 정확한 발음인지는 모르겠다. 하나로 일치되어야 할 것 같다. 이 소설이 흥미로웠던 것은 아술보다 주변 사람 특히 화자 때문이다. 그가 보여준 미묘한 감정들이 잘 표현되었고, 예상하지 못한 결말로 이어지면서 여운을 남겼다. 하지만 마지막 문장은 무슨 의미인지 전혀 이해하지 못하겠다. 이해력 부족인지 아니면 다른 의미가 있는지 말이다. 아쉽게도 여기서 여운은 더 자라지 못했다.

표제작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은 한 여대생의 감정과 이성의 충돌이 잘 표현되었다. 쌓아온 관계와 이성이 시간 흐른 뒤 흐려지고, 옛 감정이 추억과 만나게 되면서 만들어내는 환상이 일품이다. 현실의 높은 벽은 결코 감정만으로 지속적으로 이어갈 수 없다. 그녀의 선택이 다시 현실임을 보여줄 때 공감한다. 추억이란 감정은 추억일 때 아쉬울 때 아름다운 것임을. <외출>은 아마시라는 낯선 공동체의 아이들과 만난 한 소년의 추억담이다. 이 추억에 나오는 과거는 우리가 자신의 틀이나 게임 속에 들어오지 않은 사람들을 얼마나 무시하고 왜곡하는지 보여준다. 자본과 집단이란 괴물이 헛소문과 연결하여 어떤 반향을 일으키는지 보여줄 때 나 자신이 부끄러웠다.

<머킨>은 개인적으로 가장 재미있게 읽은 소설이다. 머킨은 공공장소에서 레즈비언의 남자친구 역할을 하는 남자를 말한다. 이 소설 속 화자 바로 그런 남자다. 이 남자의 외형 상 여자 친구는 그보다 열여섯이나 나이가 많다. 하지만 아버지 때문에 남자친구가 있음을 보여줘야 한다. 이 두 사람의 미묘한 감정 흐름과 벙어리 호세의 낭송시의 의미가 묘하게 연결된다. 이 미묘함이 살짝 긴장과 기대를 품게 만들면서 여운을 남긴다. <코네티컷>은 개인적으로 앞부분의 문장이 너무 명확했다. 읽을 당시 집중력이 좋았던 모양이다. 하지만 내용은 결코 가볍고 유쾌하지 않다. 사랑하는 엄마가 다른 남자의 아내와 사랑하는 관계라는 사실을 십대에 아는 순간 말이다. 혼자 이런 비밀을 알고 산다는 것이 얼마나 큰 어려움이었을지 느낄 수 있다.

다른 작품들도 나쁘지 않다. <구멍>은 조금은 섬뜩하고, 그 사건의 진실이 모호하게 다가왔다. <코요테>는 재능이 한 작품으로 바닥난 다큐멘터리 감독인 아버지의 몰락이 너무 가슴 아프다. 왜 그는 한 작품에 집중하지 못했을까 하고. <강가의 개>는 형에 대한 추억이 감정과 뒤섞이면서 한 소년의 성장을 보게 되지만 조금은 낯설다. <폭풍>은 한 가족의 조그마한 균열과 누나의 삶이 현실을 돌아보게 한다. <피부>는 너무 짧은 분량이라 집중이 잘 되지 않는다. 이렇게 모두 열 편의 단편이 나오는데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그것은 현재가 아닌 과거를 다루고, 추억 속으로 독자를 끌고 간다는 것이다. 그 추억이 결코 모두 즐겁고 유쾌하지 않지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써니람다 2011-05-24 18: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성스런 서평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