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니의 퍼즐
최실 지음, 정수윤 옮김 / 은행나무 / 2018년 8월
평점 :
절판


재일 한인 3세 소설가의 작품이다. 유명한 문학상도 3개나 수상했다. 이런 대외적인 정보보다 나의 시선을 끈 것은 조금 낯선 재일 한인 3세가 경험했던 일들이다. 시간의 흐름을 생각하면 한인 3세나 4세가 나왔어야 하는 시간이다. 그런데 언제나 읽었던 작품들의 작가가 2세까지였던 것 때문에 이 당연한 시간을 잊고 있었다. 그리고 나와 동시대에 있었고 그냥 하나의 사건 정도로 생각했던 일들이 조총련 계열 학교 학생들에게 어떤 일로 다가왔는지 보여줄 때 다른 환경 속에서 살아야 했던 재일 한인들의 또 다른 삶이 눈에 들어왔다.

 

<호밀밭의 파수꾼>을 연상케 한다는 평가는 관심을 끌기 충분했다. 비록 나 자신이 이 작품을 그렇게 좋아하지 않고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해도 말이다. 재일 한인 3세 박지니가 미국에서 경험하는 일들이나, 왜 그녀가 그곳까지 가게 되었는지 보여줄 때 한 소녀의 방황을 조금은 이해하게 되었다. 그 이해의 폭은 깊지도 넓지도 않지만 작은 충격을 주기에 조금의 부족함도 없다. 이것은 다른 방송을 통해 알게 된 재일 한인의 삶과 일본에 있었던 북송사업 등과 엮이면서 좀더 깊어졌다. 정치라는 거대한 행동 속에 개인의 삶은 너무나도 무력하고 한계가 분명하다.

 

첫 이야기를 읽었을 때 나온 존이란 존재는 솔직히 이해하기 힘들다. 이후 펼쳐진 이야기들에 존은 등장하지 않는다. 왜 자신을 표현하기 전까지 사람들이 인식하지 못하는 존을 가장 먼저 내었을까? 지니를 비롯한 재일교포들의 삶을 대변하기 때문일까? 이 소설 속에서 가장 큰 충격을 주는 것은 1998년 북한이 대포동 미사일을 발사한 일이다. 이 사건은 전 일본을 긴장시켰다. 극우단체들의 폭력이 자행되던 시기다. 치마저고리로 대변되던 조총련계 학교 학생들이 체육복으로 등교해야 할 정도였다. 지니는 이 소식을 듣지 못해 폭행과 성추행을 당한다. 어린 소녀에게 이것은 씻을 수 없는 아픔과 공포로 기억된다.

 

오래전 한국도 교실에 박정희의 초상이 걸려 있었다. 그런데 1998년 일본 조총련계 학교에는 김일성과 김정일의 초상화가 걸려 있다. 다른 학생들은 이 초상화를 풍경의 일부라고 생각했을지 모르지만 지니에게는 깨트려야 할 대상이다. 독재국가이자 재인교포들에게 위험을 주는 이들은 타도의 대상이다. 자신이 만든 선언문을 뿌리고, 초상화를 교실 밖으로 내던진다. 이 행동 때문에 그녀는 일본에 거주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이 일이 벌어지기 전 북송사업 당시 떠난 외할아버지의 편지가 중간중간 나온다. 편지 내용들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신이 생각한 것과 다른 북한의 실상이 드러난다. 그 또한 정치 문제의 희생자였다.

 

미국에서도 지니는 아웃사이더다. 홈스테이 주인이자 동화작가인 스테퍼니는 이런 그녀를 품고 세상을 받아들이게 만든다. 하늘이 무너질 때라는 가정에 ‘하늘을 받아들일 거야’라고 외친다. “언젠가, 누군가 날 용서해줄 날을, 무너지는 하늘을, 그것이 어떤 하늘이라 해도 허락하고 받아들일 날을. 괜찮아, 그걸로 됐어, 하고 누군가 인정해줄 날을 죽 기다려왔던 건지도 모른다.” 이 장면들을 보면서 지니가 겪었던 아픔과 고통과 외로움과 공포 등이 가슴 속에서 흩어졌다. 정치문제가 개인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 정치문제에 휘둘린 사람들이 어떤 폭력을 행사하는지 등은 현실의 삶을 잘 보여준다. 한 편으로는 그 현실이 가슴을 답답하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