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명의 엄마들의 이야기

서로 관계를 맺는 일에 대한 이야기

부탁을 하고 부탁을 받는 입장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어떤 말 앞에서도 강하게 부정하지 않는 선한 사람들의 이야기

 

서른 두살의 효진은 죽은 남편의 아들과 함께 살아가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엄마가 되어본 적이 없는 그녀는 덜컥 열여섯 소년의 엄마가 되어야 한단다.

그녀에게 동욱을 부탁하는 시동생이 너무 무례하고 폭력적이라고 느껴졌다. 사실 남남 아닌가?

이미 형도 죽고 아버지가 없는 상황에서 그 아이를 키운다면 효진이 당연한거 아니냐고 아주 뻔뻔하게 말하며 느물거리며 밀어붙이는데 화가 났었는데 가만 생각해보면 어쨌든 엄마는 맞긴 하다. 아버지와 결혼한 여자라면 법적으로는 엄마는 맞다.

혈육이 아니고 함께 산 기억도 시간도 없는 사이지만 말이다.

그렇게 오갈 데 없는 동욱과 매사가 무기력해져버린 효진은 함께 어설픈 모자가 된다.

 

효진의 친구도 엄마도 이런 상황을 반대했고 어처구니없이 여기지만 동욱을 받아들이기로 한 효진은 담담하다.

망설이는 시간이 길었을 뿐이지 일단 받아들이기로 했다면 아무 조건없이 받아들이는 효진의 자세가 좋았다. 그렇다고 성급하게 가까워지려고 노력하지 않고 담담하게 그냥 그렇게 공간만 함께 사용할뿐 정서적으로는 천천히 느리게 존중한다고 해야할까 어떻게 다가가야 할지 서성인다고 해야할지 그렇게  어색하고 무덤덤한 동거가 이루어진다.

 

동욱을 거부하고 싶었던 효진은 어쩌면 이 상황이 죽은 남편의 부탁이 아닐까 하는 생각과 언뜻언뜻 보이는 동욱에게서 남편의 모습을 발견하면서 이게 맞는 거라고 받아들인다.

모두가 아니라고 했고 본인도 아니라고 생각했지만 거부하지 않은 것

그것은 효진만의 일은 아니다.

딸아이의 인생을 생각해서 절대 받아들여서는 안된다고 했던 효진의 엄마도  자신의 거부를 조금씩 허물어뜨린다.

정깊은 잔소리를 퍼붓던 효진의 친구도 결국 그녀의 선택을 인정하고 몇가지 도움도 준다.

그렇게 누군가의 부탁을 모두 아닌데 하면서도 받아들인다.

결국은 내가 선택하고 내가 포기하는 일이므로

동욱의 친구 주미도 느닷없는 임신을 받아들이고 그리고 그 아이를 위한 선택을 한다.

이건 윤리적이 아니라거나 그런 일은 있을 수 없다는 시선속에서 오롯이 아이에게 가장 좋은 선택이 무엇일까만 생각한다.

무언가를 적극적으로 선택하고 싶었던 성급하고 정의로운 동욱도 결국은 포기함으로써 받아들이는 것을 배운다.

 

엄마가 아무리 온몸으로 엄마처럼 살지 말라고 부르짖어도 자식은 뜻대로 되지 않는다.

내가 아니었어도 엄마는 엄마가 원하는대로 살지 못했을거라고. 누구 때문이 아니라 스스로가 선택한 삶이었다고 뼈를 때리는 소리만 들을 뿐이다.

그래도 엄마들은 자식은 특히 딸만은 나와 다르게 살기를 바란다.그게 그들 방식의 사랑이다.

애를 좋아하지 않는다는 여자도 아이가 생기면 어쩔 수 없이 엄마가 된다. 힘들고 고단하지만 그 노동을 기꺼이 감수한다. 비록 입으로 끊임없이 투덜거림이 나올지라도

어린 나이에 엄마가 된 주미도 타인을 위한 선택을 할 줄 안다.

나중에 후회할지 모르겠지만 지금 이것이 가장 최선이라고 믿는 쪽으로 움직인다.

모든 것을 가지고도 아이가 없는 여자도 그저 선하고 애닮다.

그리고 예전 아이를 두고 떠났던 여자도 낳지는 않았더라도 엄마는 엄마였다.

세상은 다양한 엄마가 있고 그 마음의 뿌리는 같더라도 싹이 나고 꽃피우는 방법은 다 다르다.

 

 

동욱을 데려오기 전부터 무기력하고 몸이 좋지 않음을 느끼는 효진에게 상담을 해주는 정우는 효진의 모든 문제는 마음의 문제라고 말한다.

마음이 몸을 아프게 하고 늘어지게 하고 의욕을 잃게 한다고

하지만 아이러니하게 효진은 갑상선이 좋지 않아 그 모든 증상들이 나타났다는 걸 알게 된다.

뭐 마음의 문제가 전혀 아니지는 않겠지만

효진은 자기의 문제를 정확하게 진단받은 후 해결책도 알게 된다.

정해진 시간에 약을 챙겨먹는 것

문제를 직면하면 해결이 생기기 마련이다.

동욱을 받아들이기로 하고 그의 인생에 자꾸 끼어들게 되고 신경이 쓰이기 시작하면서 가족이라는 관계를 만들어가면서 효진은 문제를 직면할 수 있었을 것이다.

너무 미안해서 울지도 못했던 그 장례식장에서의 어정쩡함을 동욱에게 처음 고백한다.

그때 너도 울지 않아 참 다행이었다고

그렇게 이제 가족이 되어간다.

뭐 사실 가족이 된다고 대단할 것도 없고 앞으로 행복하게 살았다는 해피앤딩으로 끝나지 않을 거라는 것도 잘 안다.

가족이 얼마나 구질구질하고 귀찮고 아무도 모르게 저주할 수도 있는 존재라는 걸 점점 깨달아갈 수도 있다. (이건 저주인가?)

그럼에도 받아들이고 시작하기로 했다는 건 중요하다.

 

영화를 먼저 보고 찾아보니 만화로 나왔다는 걸 알았다.

영화를 먼저 봐서인지 책은 조금 밋밋했다.

영화의 장면과 다르지 않았고 영화에 담기지 않은 효진의 동생이라든가 다른 이야기들이 조금 더있어 인물의 입장이 조금 더 잘 설명되어있긴 하지만

친절하지 않고 인물들의 사연이 숨겨져 있는 영화가 더 깔끔하고 좋았다.

대사들이 배우를 통해 더 풍성해지고 표정과 행동이 함께 표현되면서 이야기가 더 애틋하고 아름답다.

모두가 힘을 빼고 자연스러운 연기도 좋았던거 같다.

임수정의 엄마 역할이 괜찮을까 싶었지만 효진같은 엄마라면 충분했고 또 그런 엄마도 현실에는 존재할 테니말이다.

 

마지막 에필로그처럼 붙은 동욱과 연화의 에피가 뭉클했다.

엄마가 아닌걸 알지만  내가 버려진것인지 아닌지를 알고 싶었던 동욱과

아들이 아니지만 엄마였던 연화의 대면

그리고 포옹과 연화의 울먹임 "엄마 미안해 정말 미안해"

동욱은 그 말 한마디가 그리워서 그렇게 연화를 찾아다녔던 모양이다.

내가 괜찮다는 말 내 탓이 아니라는 것

 

그러고 보면 인물들은 모두 내탓이 아닐까 생각하고 있었던거 같다.

딸이 그렇게 구질구질하게 사는게 내탓같은 효진의 엄마

남편이 죽고 이렇게 무기력한게 역시나 내문제인가 하는 효진

임신한 아이를 이렇게 보내는 게 맞는지 계속 고민했을 주미와

자기의 의사와 관계없이 어른들의 결정에 이리저리 옮겨야 하는 동욱의 불안이

모두 자기에게 문제가 있어서 자기가 잘못해서일까 하는 마음들

물론 나의 문제는 나에게서 나오는 것이지만 꼭 내가 잘못은 아니라는 것

그 말이 누구나 절실하지 않을까

괜찮다. 그럴 수 있지. 나도 미안해 하는 말...

 

선택을 한다는 것은 무언가를 포기해야하는 일이라는 말

그말과도 닿지 않을까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영화였다.

그리고 책도 영화와 함께라면 나쁘지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