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계급론 (무삭제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24
소스타인 베블런 지음, 이종인 옮김 / 현대지성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한계급에 대한 말을 많이 들어왔지만 아직까지 한번도 읽어볼 엄두를 내지 못했다.
'유한계급'이라는 단어 자체에서 오는 어렵다는 느낌때문이였을까...
그런데, 전부 읽은 지금은 왜 이제서야 읽었을까 하는 아쉬움이 든다.
이제라도 제대로 봤다는 것에 감사함을 느껴야 되는 것일까?

위의 책이 내가 이번에 읽은 소스타인 베블런의 유한계급론이다.
현대지성에서는 고전을 '현대지성 클래식'이라고 해서 이렇게 시리즈로 보여주고 있다.

베블런은 노동과 부, 명예는 절대 비례하지 않고 오히려 반비례한다고 말하고 있다.
부와 명예의 과시에 대한 수단으로 소비를 한다고 주장한다.
재산은 능력과 성공의 표시하고 그것을 외부에 효과적으로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 소비를 말하고 있다.

책은 계급이 어떻게 생겨났는지를 인류의 탄생에서부터 보여주고 있다.
인류 초창기에 용맹함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였던 전리품은 전쟁이 없는 평화의 시대에서는 재화의 축적양으로 기준이 바뀌였다. 

이런 부의 중거로서 과시적 소비가 여가보다 더 효율적이라는 주장도 무척이나 공감이 갔다.
보통 사람들은 소위 ‘명품’이라는 것을 소유하고자 한다.
그것이 특별히 뛰어난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도 아니고, 더 나은 효율을 보장하는 것도 아니다. (교환되는 화폐의 가치에 비해)
그럼에도 불티나게 팔리는 이유는 무엇일가?
이정도의 값비싼 물건을 가지고 있다는 표시를 함으로써 자신의 부를 남들에게 보여주고 싶기 때문이 아니라고 할 수 있을까?
우스갯 소리로 안팔히는 물건의 가격에 0을 하나 붙였더니 불티나게 팔렸다고 할까..

매너의 궁극적인,경제적 밑바탕은 여가(혹은 시간의 비생산적 사용)의 명예로운 특징에서 찾아야 한다.
만약 여가가 없다면 좋은 매너라는 것도 생겨나지 않는다.
좋은 체면에 대한 지식과 습관은 오래 지속된 관습에서 나오는 것이다.
세련된 기호, 매너, 생활습관은 상류계급의 유용한 증거이다.
왜냐하면 좋은 교양은 시간, 노력, 비용이 들어가야 하는 것인데 생산적인 일에 시간과 에너지를 투입해야 하는 사람들로서는 그것을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
결국 매너의 가치는 여가 생활이 보증서라는 사실에 있다.
따라서 여가는 금전적 명성을 얻게 해주는 전통적 수단이고, 그 명성을 얻기 원하는 사람은 좋은 매너를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다.
배가 불러야 매너도 지킨다라는 우리나라 속담도 있다.
무엇이든 여유가 있어야 매너나 체면을 생각하지 지금 당장 먹고 살기 힘들다면 허식에 불가할 뿐이다.

소비의 근본적 동기는 경쟁이다. 
현 시대의 소비행태를 이보다 더 잘 표현한 문장이 있을까?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는 보다 많은 사람들의 일상을 들여다 볼 수 있게 해주었고 그들 대다수는 남들보다 나은-경재적 여유든, 공간적 여유든- 것들만을 노출한다. 
이러한 자극은 경쟁심리를 발동시키고 더 비싼 소비를 충동한다. 
기술의 발전은 소비의 행태에도 기여하는 바가 높다. 

책 마지막에 나오는 '고전은 경제적 효율을 저해한다'는 말에는 참으로 공감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시대에 유행하는 인문학 열풍이 아니라, 조선시대의 양반들을 보는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실제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함이 아니라, 누군가에게 자신의 지식을 뽐내기 위한 장식품이였을 것이다.

100년 전에 나온 책에 지금 이 시대에도 열렬히 공감할 수 있다는 사실에 반가워해야 할까, 슬퍼해야 할까?
이 책은 경제에 대한 책이라기 보다는 사회과학에 더 어울리는 책인 것 같다.
유한계급은 지금도 유효하고 앞으로도 유효할 것이다.
다만 그 방법이나 수단의 차이가 있을 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