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거 앨런 포 단편선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08
에드거 앨런 포 지음, 전승희 옮김 / 민음사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신―어떻게 그걸 미신이라 부르지 않을 수 있겠는가?―이 빠르게 자라나고 있다는 걸 내가 의식하면 할수록 그것은 더욱 심해졌다. 공포 때문에 생기는 모든 감정에 그 같은 법칙이 적용된다는 걸 나는 이미 잘 알고 있었다. [...] 꿈이 틀림없는 환상을 머리를 흔들어 떨구면서 나는 건물의 구체적인 모습을 더 세밀히 살펴보았다. 

- <어셔가의 몰락>, 57





어떤 현상이든지 과학의 원리로 설명하는 습관

에드거 앨런 포의 작품을 두고 ‘환상적이다, 몽상적이다, 초자연적이다’라는 평가가 많은데, 잘 읽어보면 그의 서술은 의외로 현실과 논리의 영역을 좀처럼 벗어나지 않는다. 소설의 주인공들은 대체로 엄격한 논리와 과학적 사고방식의 소유자들이다. 데뷔작인 <병 속에서 발견된 원고>의 시작 부분에서부터 포는 이러한 점을 명확히 해두고 있다. 그 소설의 화자는 “물리학에 심취해” 있어서 “어떤 현상이든지 과학의 원리로 설명하는 습관”을 가진 인물인 것이다. 이런 인물들이 초자연적인 경험, 인간의 지각 능력을 초과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이것이 포 소설의 기본 설정이다. 

포는 그러한 경험을 하는 동안 인물이 느끼는 경외감과 공포감, 그리고 그것이 점점 증폭되는 과정(=인간의 마음과 정신에 스며드는 과정)을 매우 꼼꼼히, 차근차근, 순차적으로, 논리적으로 서술한다. 공포로 정신줄을 놓을만한 상황인데도 인물은 끝까지 제정신을 유지하며 자신이 처한 상황을 관찰하고 묘사한다.

즉 포의 인물들은 인간의 마음속에 이는 불안감, 두려움, 공포. 이것들을 물리학적 관점에서 파악하려 하며, 논리적인 태도로 보려한다. 반쯤 정신이 나간 듯한 로더릭 어셔조차 단순히 ‘저택이 미신적 힘을 갖고 있다’라는 식으로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는 ‘식물적 존재가 감각에 미치는 영향 일반에 대한’ 견해를 갖고 있다. 아래 인용문에서 보듯 자기 나름의 '과학적 견해'로 자신이 처한 상황을 파악하려는 태도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그의 견해는 특정한 조건에 처한 무생물의 영역까지 나아갔다. [...] 그의 신념은 조상 대대로 내려오던 저택의 회색 돌과 관련된 것이었다. 그의 상상에 따르면 그의 의식의 조건은 그 저택의 돌들이 연결된 방식, 즉 그것들이 배열된 순서, 그 위를 뒤덮은 이끼의 배치, 그리고 주변에 서 있는 죽어 가는 나무들의 배치,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런 배치가 오랜 세월 동안 변함없이 유지되어 왔다는 사실과 그것들이 고여 있는 호숫물에 반영되어 있다는 사실에서 완성된다. - <어셔가의 몰락>, 70.



인물이 어떠한 상황에서도 정신줄을 놓지 않는다, 끝까지 관찰하고 감각한다, 그렇게 관찰하고 감각한 것들을 상세히 묘사하고 서술한다. 이것이 포 소설의 특징이자 매력이다. <구덩이와 추>는 그러한 매력이 가장 직접적으로 잘 드러난 소설이다. 종교재판을 받고 지하 감옥에 갇힌 인물은 자신이 놓인 처지를 두고 다양한 상상들을 한다. 곧 죽게 될 것이 명백해진 상황 속에서 그는 다양한 생각과 활동들을 한다. 칠흑 같은 어둠 속에서 자신이 갇힌 감옥의 크기를 재보기도 하고, 크기를 잘못 쟀다는 것을 깨닫고 허영심에 상처를 입기도 한다. 도끼 모양의 추가 점점 내려오는 상황에서 ‘더 가벼운 파괴’라는 표현을 떠올리고 미소를 짓기도 하고, 생각을 멈춤으로써 추의 하강을 멈추려 시도하기도 하며, 심지어 “추가 아래로 내려오는 속도와 좌우로 흔들리는 속도 사이의 대조를 즐겨야겠다”는 마음을 먹기도 한다(200). 이 작품에서는 극한 상황에서도 어김없이 발휘되는 인간의 ‘한가한 탐구심(호기심)’, ‘현실도피적 유희 능력’이, 인간의 절박한 생존의지와 결합되어 매우 흥미롭게 그려진다. 이러한 포의 서술을 읽다보면, 삶의 정수란 (결과적으로 살아남았느냐 죽게 되었느냐 하는 데 있는 게 아니라) 자신이 처한 한계 상황을 어떻게든 파악해보려는 탐구심, 어떤 상황에서건 즐거움의 요소를 발견하려는 유희 능력에 있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미로와 심연 


그런데 다른 한편 포의 소설은 ‘분위기’의 소설이기도 하다. ‘기이한 분위기’는 그의 소설의 출발점이자 핵심이다. 지금까지 포 소설의 논리적인 면을 살폈는데, 이 기이함은 논리로는 파악되지 않는 영역에 속한다. 물론 포는 '약물(술) 중독'이나 '황량한 장소', '실내장식(커튼, 바람, 조명 등)의 디테일', '벽돌의 배치' 등이 인간에게 미치는 효과, 라는 차원에서 논리적 설명을 시도하기도 하지만, 논리로는 결코 해소되지 않는 기이함이 여전히 남는다. 아니 소설을 다 읽었을 때 독자들의 머릿속에 남게 되는 건 논리가 아니라 기이한 분위기다.



리지아의 눈을 유심히 관찰할 때, 내가 얼마나 자주 그 눈에 깃든 표정의 의미에 대해 곧 완전히 이해할 것 같다는 느낌을 받으면서도―아직은 완전히 이해하지 못했지만 곧 그런 이해에 도달할 것 같다는 느낌 말이다―동시에 그런 이해가 결국은 완벽하게 내 손아귀를 빠져나가 버렸다는 느낌을 받았는지! - <리지아>, 31.



포는 줄곧 논리적인 태도를 견지하려 하지만, 결국엔 인간의 논리로는 이해 불가능한 영역 및 현상이 있음이 훨씬 더 강조된다. 인간의 지각이란 그 한계가 뚜렷한 것이어서 전체 구조를 파악하는 데 늘 실패한다. 포는 그의 독자를 기이하고 신비한 공간으로 데려다 놓고 그곳을 돌아다니거나 들여다보게 한다. 예를 들어 <윌리엄 윌슨>의 학교 건물은 한 눈에 전체를 파악할 수 없는 복잡한 구조다. 이렇게 한눈에 총체적 인식이 불가능한 ‘복잡한 미로’ 또는 ‘아득한 심연’이라는 공간 구조는 작품에 따라 '어셔가의 지하실', <붉은 죽음의 가면극>의 '무도회장', <소용돌이 속으로의 추락>의 '소용돌이', <구덩이와 추>의 '구덩이', <검은 고양이>와 <아몬티야도 술통>의 '지하실'로 변주된다. 상징적인 차원에서 본다면 이러한 공간 구조는 인간의 마음(복잡하고도 그 깊이를 알 수 없는)에 대응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엄숙하고 느린 걸음걸이로 설교단을 올라가는 그[교장]를 멀리 떨어진 신도석에 앉아 바라볼 때 얼마나 기이하고 황당한 느낌이 들었던지! [...] 오, 너무도 엄청난 모순이여, 너무도 기괴해서 풀 길이 없구나!  

그 저택! 그 낡은 저택은 참으로 신기한 건물이었다! 그리고 내겐 진정한 마법의 궁전이었다! 그 꾸불꾸불하고 불가해한 구석들에는 정말이지 끝이 없었다. [...] 그 방들은 옆에서 옆으로 헤아릴 수 없을 만큼, 즉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가지를 쳤기 때문에, 한참 걸어가다 보면 제자리로 돌아오기 일쑤였다. 전체 저택에 관한 인식은 곧 무한대에 관한 인식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 <윌리엄 윌슨>, 88-8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