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위로 읽는 세상
김일선 지음 / 김영사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단위는 언뜻 의식하기는 힘들지만 사회를 떠받치는 중요한 기둥 중 하나다. 모두가 사용하는 공공의 기준이 어떤 식으로 삶에 녹아들어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우리가 부지불식간에 어떤 식으로 의사소통을 하는지, 인간이 자연을 어떤 식으로 바라보고 이용하는지를 알 수 있다. - p.16


 흥미로운 책을 한 권 만났다. 평소라면 읽지 않았을 좋아하지 않는 분야의 책이라 그저 스르륵 지나갔을텐데, 근래에 접했던 과학분야의 책들이 생각과 달리 재밌게 읽혀 또 한 권의 책을 찾아 읽게 되었다. 수업 시간에 들었던 과학은 어렵기도 했지만 시험문제를 풀기 위해 공부를 하는 것이지 실생활에 깊이 도움을 주거나 흥미를 돋우지 않고 그저 수학공식을 익히듯 과학을 배웠다. 더욱이 어렸을 때 실험을 하다가 짝꿍인지 아니면 실험을 함께한 반 친구였는지 그 친구가 실수로 식초가 가득든 병을 내 과학책에 쏟아버렸다. 과학책을 못 쓰는 건 둘째치고, 그때 맡았던 식초 냄새가 얼마나 강했던지 아직도 식초 냄새만 맡으면 욱하고 올라올만큼 식초 냄새를 좋아하지 않는다. 그때 트라우마 아닌 트라우마가 내 과학은 물론 과학에 대한 흥미를 모조리 빼앗아 버린 원흉이었다.


그 후로 정말 과학을 싫어했는데 많은 사람들이 읽고 회자되었던 책을 찾아 읽고, 흥미로운 책들을 골라 읽으니 예전보다는 과학을 접하는데 있어 거부감이 많이 없어졌다. <단위로 읽는 세상>은 어려운 과학의 이야기보다는 과학의 기초가 되는 '단위'와 단위로 얽혀있는 문화, 경제, 과학의 비하인드 스토리 같은 이야기들이 가득 담겨져 있어 흥미를 끈다. 무엇보다 저자에게는 악몽이었지만 '0점'을 맞은 시험을 통해 단위의 중요성을 다시금 일깨워주셨던 노교수님으로 인해 훗날 그는 '단위'에 대해 더 생각하게 되었다고 서문을 통해 밝히고 있다.


가만히 생각해보면 우리가 쓰는 많은 것들은 '단위'에 의존해 있고, 그것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 그럼에도 중요한 단위를 의식하지 않고, 으레 그것이 원래의 기준인 것 마냥 사용한다. 단위 때문에 보잉 767 비행기가 연료가 부족해 잘못하면 큰 사고로 많은 인명피해가 날 뻔하고, 나사의 화성궤도선이 한 순간에 불타버린 것도 '단위'를 착오하여 생긴 '해프닝'이라 할 수 있다. 각각의 기준을 만들었음에도 인간이 하다보니 실수가 생겨나고 단순한 실수하고 하기에는 커다란 손실이 한 순간에 날라간 사건은 웃지 못 할 일이었다.이렇듯 우리는 많은 과학적 발명과 서로의 약속과 약속으로 생겨난 단위가 어떻게 발견되고, 만들어져 왔는지는 상세하게 설명해준다.


재밌는 사례 가운데 흥미로웠던 부분 중 하나는 화폐의 단위였다. 우리나라는 원, 일본은 엔, 중국은 위안으로 표기되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둥글다'라는 뜻으로 사용된다고 하니 사이가 좋든, 좋지 않든 양 옆에 있는 중국과 일본의 영향이 없지는 않나보다. 이 밖에도 국제 단위계에 표기된 인물들의 이름을 따서 단위를 딴 이름도 재밌게 읽은 챕터다. 외국의 많은 지명이나 이름을 보면 대체적으로 그들이 발견을 했거나 발명을 한 이름을 많이 따 그들의 업적을 새겼는데 제일 많이 이름을 남긴 국가는 영국, 독일, 프랑스 순이다. 아무래도 산업혁명을 이룬 국가들이 과학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내었고 지금도 우리는 그들의 업적에 힘입어 현대에 이르기까지 그 단위들을 유용히 쓰고 있다.


과학을 좋아하지 않아도, 어렵게 느꼈던 이들도 문화와 문명, 우리가 늘 쓰는 단위의 중요성을 인식 할 수 있도록 흥미로운 주제를 통해 단위를 잘 설명하고 있다. 일상의 언어이면서도 중요한 언어의 중요성을 미처 깨닫지 못했는데 책을 읽고 나니 우리가 얼마나 많은 시간과 공간 속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지 인지하게 되었다. 알고 있는 것과 모르고 사용하는 것이 얼마나 큰 간극인지를 다시끔 깨달았던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