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얼리스트를 위한 유토피아 플랜 - 우리가 바라는 세상을 현실에서 만드는 법
뤼트허르 브레흐만 지음, 안기순 옮김 / 김영사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한 모색.


 10년 전 혹은 20년 전의 사회를 떠올려보면 우리가 살고 있는 삶의 패턴은 상상을 초월 할 정도로 빠르게 바뀌었다. 고도 성장의 시대, 끊임없이 나라에서는 노동력을 독려하고, 빠르게 부를 축척하기 위해서는 값싼 노동력으로 많은 노동시간을 할애하여 일해야 했다. 그것이 힘든 일이든 쉬운 일이든 닥치면 해야 했고, 우리는 그들의 인내와 노력으로 지금의 우리나라의 성장 발판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 흐를수록 통신기기 및 과학은 말 할 수 없을 정도로 발전해 왔지만 상대적으로 개인의 삶은 기술 혁신 만큼이나 더 행복하고, 발전해 왔는가에 물음표를 던지게 된다.


매번 뉴스를 보면 출산률이 점점 낮아지고, 노량진이나 신림 고시촌에서 공부하는 들이 많아지고, 대학을 졸업한 이들이 취업난에 허덕여 우울증을 앓고 있거나, 학자금 대출 때문에 빚을 떠안고 졸업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있다. 왜 우리는 이토록 사회가 발전했음에도 점점 더 가난해질까? 뤼트허르 브레흐만은 보편적인 기본 소득과 주 15시간 노동, 경계가 없는 세계를 말하고 있다. 과연 그의 말대로 노동시간을 적게하고, 나라에서 주는 기본 소득을 받고, 국경이 없는 세계라면 우리가 말하는 이상향의 세계라고 말 할 수 있을까? 궁극적으로 우리가 꿈꾸는 세계지만 많은 이들의 기본 소득을 지탱해 줄 국가가 얼마나 있을까 싶기도 하다.


그는 진취적인 주장으로 우리의 이상향을 말하고 있고, 앞으로 어떤 세계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을 줄 모르나 그가 그리는 세계가 허황되지는 않는다고 생각한다. 지금 우리가 마주하는 문제들은 현실에서 안 될 수도 있으나, 기존에 자본을 틀어잡고 있는 이들이 고삐를 풀지 않고 자신들의 영역을 지키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새로운 유토피아를 꿈꾸는 건 우리가 현재 처하고 있는 상황이 그만큼 좁아지고 있고, 이상향을 꿈꾸고 있는 세계와는 다른 의미로 들리기도 한다. 우리가 현재 마주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인간의 삶의 풍요로움, 긴 시간 노동에 대한 생각을 바꾸게 만드는 책이다. 노동 시간을 줄이면 그 만큼 받는 임금의 불완전함과 인력의 손실, 노동을 전혀 하지 않아도 되는 안인한 생각들이 많은 이들에게 심어져 있으면 어떻게 되는가? 하는 걱정이 먼저 앞선다.


그러나 그는 모든 국민에게 형금을 무상으로 지급해야 하는 이유와 닉슨 대통령에 얽힌 법안에 대한 이야기와 함께 주당 15시간 노동에 관해 하나하나 논박하고 있다. 지금은 당장 그림을 그릴 수 없는 이상향의 계획일지라도 언젠가는 우리가 이런 세계에 진입 할 것이라고 그는 주장한다. 급격히 변하는 세계에서 이 플랜이 그저 저자의 말도 안돼는 계획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그와 같은 주장과 생각들이 모여 이 사회에 대한 복지와 노동, 경계를 긋지 않는 세계화가 언젠가는 되지 않을까 하는 희망을 품어보기도 한다. 뤼트허르 브레흐만이 새롭게 떠오르는 유럽의 젊은 사상가로 떠오르기 때문인지 동양의 문화권 보다는 서구의 모델들을 통해 이상향 플랜을 짜 놓았다. 그들이 우리가 참고해야 할 모델이기도 하지만, 아시아권에서도 그가 주장하는 것들을 실행시키고, 함께 꿈꿀 수 있는지를 탐색했더라면 더 좋았을 것 같다.


---


자본주의가 풍요의 땅으로 들어가는 문을 연 것은 확실하지만 자본주의만으로는 풍요의 땅을 유지 할 수 없다. 진보는 경제 번영과 동의어로 여겨지지만 21세기를 사는 우리에게는 삶의 질을 높이는 다른 방법들을 찾아야 하는 난제가 있다. 서구의 청년은 무정치적 테크노크라시 시대에서 대부분 성년을 맞이하고 있지만 다시 정치로 돌아가 새 유토피아아를 찾아야 한다. - p.31


영국 철학자 버트런드 러셀은 "인간이 스스로 행복하려면 이런저런 즐거움뿐 아니라 희망과 진취적인 기상과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으며, 다른 글에서는 이렇게 주장했다. "우리가 원해야 하는 것은 완성된 유토피아가 아니라, 상상과 희망이 살아 있고 꿈틀거리는 세상이다."  - p.33


이러한 오랜 질문들을 재고하는 것은 이제 우리가 감당해야 할 몫이다. 성장은 무엇인가? 진보는 무엇인가? 삶을 정말 가치 있게 만드는 근본적인 요소는 무엇인가? -p.131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직업과 기술이 전혀 필요하지 않은 직업은 매우 안정적인 상태로 남아 있지만 보통 기술을 보유한 사람이 종사할 수 있는 일자리는 감소 추세이다. 현대 민주주의의 근본인 중산층은 서서히 그러나 확실하게 쇠퇴하고 있다. 이 과정의 진행 속도로 보면 미국이 단연 앞서 있지만 다른 선진국도 머지않아 그렇게 될 것이다.- p.197


낯이 두꺼워져라. 무엇이 중요한지 아무도 당신에게 명령하지 못하게 하라. 세상을 바꾸고 싶다면 비현실적이고 비이성적이어야 하고, 불가능해 도전해야 한다. 이 점을 기억하라. 노예제도를 폐지하고, 여성에게 참정권을 부여하고, 동성 결혼을 요구했던 사람들도 처음에는 미치광이라는 낙인이 찍혔었다. 그들의 주장이 옳다고 역사가 증명할 때까지는 그랬다. - p.26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