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의 시대 - 공감 본능은 어떻게 작동하고 무엇을 위해 진화하는가
프란스 드 발 지음, 최재천.안재하 옮김 / 김영사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연의 본질 모두가 느낄 수 있는 '공감의 시대'


​ 사회가 발전되면 발전 될 수록 사람들의 마음 속에 스며드는 온기는 줄어들고 있는 것 같다. 일종의 체감 온도 느껴지는 사회적인 공감도는 훨씬 더 적어지고, 마치 냉각기를 갖고 있는 듯 더 차가워졌다.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많은 정보를 알아가는 만큼 인간은 '공감'에 대한 호소 보다는 개인적인 생각들과 감정들이 더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것이 생존경쟁을 치열하게 싸워대는 자연의 본질 중 하나라고 생각했던 것들인지 아니면 인간이 살아가면서 변종되는 감정인지 모르겠지만, 네덜란드의 동물행동학자이자 영장류학자인 프란스 드 발의 <공감의 시대>는 인간의 능력이라고 생각했던 '공감'을 많은 동물들 또한 느끼고 있다고 한다.


지구에서 사는 생물 중 인간은 가장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인간' 스스로 말하고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별에 대해 인간이 너무 망각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 섞인 시선이 스며든다. 많은 동식물들 보다 더 뛰어나다는 오만이 지금의 지구를 만들었고, 강한 동물들 보다는 약하지만 글과 말, 생각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하지만 그것이 자연의 본질에서 이제는 '생존경쟁'이 아닌 공감의 시대로 넘어가고 있다는 것을 작가는 말하고 있다. 인간과 가장 유사하다는 침팬지가 맹수에게 물린 친구를 보살펴주고, 부모를 잃은 펭귄이 추위에 떨고 있을 때 내 아이의 친구이자 이웃이었던 어린 펭귄에게 먹을 것을 나누어주는 것을 브라운관을 통해 본 적이 있다.


우리는 동물의 세계에 대해 약육강식의 세계라고 일컫지만 동물들은 그 이면에 서로에 대한 동질감과 공감하며 어울려 살아가고 있음을 프란스 드 발은 한발짝 더 진화한 동물들에 이야기하고 있다. 무엇보다 이 책을 관심있게 읽게 된 이유는 이 책을 번역한 최재천 교수 때문이다. 그의 저작 중 <생명이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 (2001,효형출판)를 좋아하는데 '공감'과 '통섭'에 대한 주제를 통해 여러번 설파했던 그의 이야기 때문인지 프란스 드 발의 글 역시 공감하며 읽었다. 이렇듯 동물들은 끊임없이 진화 하는데 비해서 인간 사회는 공정하고 조화로운 사회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는가에 대해 의문을 표하게 된다.


우리는 오랫동안 우리 인간만이 유일하게 남의 마음을 읽고 아픔과 기쁨을 함께 나눌 수 있다고 믿어 왔습니다. 하지만 공감은 우리와 유전자의 99퍼센트가량을 공유하는 침팬지는 말할 나위도 없거니와 우리와 진화적으로 그리 가깜지 않은 온갖 동물에서도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이는 동물의 공감이 진화적으로 뿌리가 깊다는 뜻입니다. - p.8


생물학이 보통 이기적 원칙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를 정당화화도록 요구받는 것은 사실이지만, 또한 공동체를 함께 묵어주는 접착제 역할도 제공한다는 것을 절대로 잊지 말아야 한다. - p.13


자연 속의 많은 동물들은 서로를 짓밝거나 자기 것만 챙겨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협동하고 공유하며 살아남는다. - p.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