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님 모시고, 여행을 한 번도 하질 못했네요... 이래서 아들보다는 딸이라고 하나 봅니다. 더 늦기 전에 모시고 여행을 하고 싶은데, 쉽지 않네요... 올해 안에 갈 수 있다면 좋으련만... 우선은 아버님의 글을 모아 책으로 내는 작업을 진행중이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리와 부엉이 - 우리는 친구
한나 요한젠 지음, 케티 벤트 그림, 임정희 옮김 / 꿈터 / 200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다름’은 ‘틀림’이 아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나와 다른 생각, 나와 다른 가치관, 나와 다른 생활습관 등을 이해하지 못한다. 아니 용납하지 않으려는 모습마저 보인다. 이는 성숙치 못한 모습이다. 나와 ‘다름’을 ‘틀림’으로 생각하는 건 자신만이 옳다고 여기는 오만함이다. 또 어떤 이들은 나와 ‘다름’을 용납하지 못하고, 도리어 그 ‘틀림(?)’을 바로잡는 것이야말로 자신의 사명이라 착각하며 살아가는 사람들도 있다. 이처럼 나와 ‘다름’을 용납지 못하고, 오직 하나의 소리, 하나의 언어만을 강요하는 사회야말로 바벨탑을 쌓아가는 어리석은 모습임을 생각해본다.

“오리와 부엉이”는 우리 딸 아이(32개월)에게 읽어주기에는 아직 어려운 내용이다. 하지만, 판화로 찍은 듯한 느낌의 그림은 딸 아이가 관심을 기울이기에 충분하다. 글을 읽어줄 때, 딸 아이는 아직 내용을 이해하진 못하지만, 독특한 분위기의 그림에 관심을 기울이며 전혀 지루해하지 않는다.

오리와 부엉이는 서로 살아가는 삶의 패턴이 완전히 다르다. 그렇기에 처음엔 서로의 모습을 보며, 잘못되었다고 비난하기도 한다. 하지만, 점차 자신만의 세상이 옳은 것이 아님을 깨닫게 되고, 상대의 다름을 이해하려 애쓰는 모습을 보인다.

비록 아직 그 내용을 이해하진 못한다 할지라도,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자 애쓰는 오리와 부엉이의 모습을 보면서 우리네 아이들이 자란다면, 이 아이들이 성장하여 이 세상을 이끌어갈 때, 우리네 사회가 더욱 살맛나는 세상이 되지 않을까? 이제 우리 아이들이 배우는 교과서에서도 우리 민족이 단일민족이라는 내용이 빠졌다고 한다. 그만큼 서로 다른 문화권에서 성장한 사람들이 함께 어우려져 살아가야만 하는 세상이 온 것이다.

이러한 때, 서로 다름을 존중하고 이해하려 애쓰는 오리와 부엉이의 모습을 우리네 아이들이 배우게 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특히, 아직 가치관이 형성되기 전의 아이들이 읽는다면 좋겠다. 분명 아이들의 가치관 형성에 선한 영향력을 끼치리라 여겨진다. 많은 아이들이 이 책을 읽길 바란다. 나와 ‘다름’도 인정하고 용납하는 세상, 서로 ‘다름’에도 서로 ‘하나’ 되어 어우러지는 세상이 오길 바라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특가구성] 베드타임 스토리 전 100종 (양장본 책80권+CD20장) - 엄마아빠와 함께 행복한 꿈나라로 떠나는 동화여행
차일드캠프 / 2007년 1월
평점 :
절판


너무나도 착한 가격... 구입했슴다... 울 딸에게 읽어줘야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국의 책방
마쓰히사 아쓰시 지음, 조양욱 옮김, 다나카 와타루 그림 / 아침바다 / 200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천국은 어떤 곳일까? 우리는 흔히 천국이라 하면 사방이 온통 황금으로 뒤덮여 있고, 언제나 아름다운 노래가 흐르고 그곳에서 하는 일 없이 날마다 웃으며 즐길 수 있는 곳으로 생각하곤 한다. 하지만, 만약 천국이란 곳이 황금으로만 덮여 있다면 그 딱딱한 곳에서 어찌 살까? 그리고 아무리 좋은 것이라 할지라도 그것이 매일같이 반복된다면 그저 싫증나는 일에 불과하게 될 뿐임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

그래서 천국 역시 우리가 살아가는 곳과 유사한 삶이 있는 곳이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물론, 우리 삶 속에서처럼 서로를 향한 미움과 싸움과 시기 질투로 가득하여 혼돈을 향해 나아가는 그런 곳이 아니라, 어떤 때는 아픔도 있고 눈물도 있겠지만, 이 모든 것이 보다 나은 세상을 향해 나아가는 곳이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보곤 한다.

그런데, 정말 그런 천국을 환상적으로 묘사한 짧고 아름다운 동화가 바로 '천국의 책방'이라는 책이다. 이 책은 천국이라는 곳을 모티브로 하여 젊은이들이 서로의 아픔을 치유하며 사랑을 깨닫게 됨을 그리고 있다.

무능력으로 인한 무력감에 젖어 있던 사토시, 그리고 자신의 동생을 먼저 보냄으로 스스로의 목숨을 끊어야만 했던 유이라는 소녀의 아픔들. 이것들이 천국에 있는 한 책방에서의 일상을 통해 치유되어 간다. 그리곤 서로를 향해 가슴을 열어 보인다. 마침내 천국에서 다시 이생으로 돌아오게 되는데, 천국에서 만났던 사람들은 그 기억을 완전히 잊어버리게 되어 서로 만날 수 없다지만, 그 아픔 가운데 키웠던 사랑의 힘은 그들을 이생에서 다시 만나 사랑의 열매를 맺게 한다.

정말 동화 같은 모티브이고 환상적인 요소를 가진 줄거리이지만, 가슴을 따뜻하게 하고 아름답게 하는 힘을 가진 동화이다. 우리 모두 이런 사랑으로 세상을 아름답게 하고 따뜻하게 만들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민들레처럼 - 안도현의 어른을 위한 동화
안도현 지음, 이종만 그림 / 자음과모음(이룸) / 2003년 5월
평점 :
품절


우리는 삶을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가? 자신의 미래에 대한 반성 없이, 이미 주어진 ‘틀’안에서 순응하며 그저 굴러가고 있진 않은가? 혹은 나에게 주어진 환경을 탓하면서도 바로 그 환경 속으로 함몰해 들어가고 있진 않은가? 아니면, 삶에 대한 심각한 고민 없이 그저 주어지는 데로 의미 없이 살아가고 있진 않은가? 혹 그런 사람들에게 삶의 자리에서 스스로 일어서기를 촉구하는 잔잔하면서도 힘찬 이야기가 바로 안도현의 ‘민들레처럼’이란 동화이다.

어느 날 민들레 꽃씨 하나가 바람에 몸을 싣고 날아온다. 그 꽃씨가 펼쳐진 일기장 위에 내려앉음으로 이야기는 시작된다. 모든 것들을 책을 통해 알아 가지만, 실상 그건 갇힌 이론에 불과함을 잘 알고 있는 이야기 속의 화자가 자신의 일기장 위에 내려앉은 작은 민들레 꽃씨 하나와 나누는 이야기 형식으로 동화는 전개된다. 여기 이야기 속의 화자는 저자의 자기반성이 투영된 듯 하며, 아울러 책을 통해 사물을 알아 가는 가상 독자들을 향한 경계의 투영인 듯 하다.

꽃이 지면서 아무도 관심을 가져 주지 않는 가운데, 사그러 들어가는 민들레 꽃. 하지만, 그런 외로움의 아픔 가운데 꽃줄기는 더욱 높이 치솟으며 또 다른 자아를 세상으로 보내기 위한 준비를 한다. 그런데, 이게 왠일인가? 하필이면 아픔 가운데 키워낸 꽃씨를 날려보낼 바람이 불어오지 않으니. 이제 민들레 꽃씨는 또 다시 좌절로 주저앉던지 아님 뭔가 새로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런 시련 앞에 민들레는 운명을 바꾸는 힘이 자기 안에 있음을 깨닫는다. 막연히 꽃씨를 날려줄 바람이 불기만을 기다릴 것이 아니라, 자신의 몸 속에 있는 바람을 불러일으키려 노력한다.

새로운 세계로 들어서기 위해선 도움의 손길뿐 아니라 자기 내부의 힘을 불러 세우는 노력이 필요함을 민들레는 깨달은 것이다. 결국, 민들레 꽃씨는 스스로 운명을 개척하여 자기 자신을 흔들어 몸 속의 바람을 불러일으킴으로 먼 곳을 비행하여 이야기 속 화자의 일기장 위에까지 날아오게 된 것이다.

저자는 이런 민들레 꽃씨의 이야기를 통해 독자들이 ‘민들레처럼’ 자신을 흔들어 깨우며, 자신의 운명을 바꿀 수 있는 내부의 힘을 불러일으키길 촉구한다. 우리들은 작은 민들레 꽃씨와 같은 그런 존재이지만, 이 세상에 왔다 갔음을 잊지 않기 위한 작은 점을 찍는 꽃씨들을 각자의 삶 속에서 만들어가길 바란다. 아직 자신을 흔들어 깨우지 않은 많은 이들이 ‘민들레처럼’ 자신을 깨우길 저자는 잔잔하지만 힘있는 어조로 우리에게 말한다.

민들레꽃은 ‘앉은뱅이 꽃’이라 불린단다. 앉은뱅이 같은 불우한 환경 가운데 주저앉아 날마다 눈물과 한숨가운데 신음하고 있을 수많은 이 땅의 민들레들이 이 책을 읽고 ‘민들레처럼’ 스스로를 흔들어 깨워 일으키는 일들이 일어난다면 얼마나 좋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