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물 속에 살아있는 동물이야기 1 - 상상의 동물, 하늘의 초능력자 배움가득 우리 문화역사 1
박영수 지음 / 풀과바람(영교출판) / 2005년 6월
평점 :
절판


<유물 속에 살아있는 동물 이야기> 시리즈는 우리의 자랑스러운 유물 속에 등장하는 동물들을 살펴보며, 그 동물들을 우리 민족은 어떻게 바라봤는지를 이야기해주고 있다. 그 첫 번째 1권엔 이런 부제가 붙어 있다. 상상의 동물, 하늘의 초능력자. 그러니, 이번 1권에서 다루고 있는 동물들은 모두 상상 속의 동물이다. 실존하는 동물이 아닌, 우리 민족이 상상하며 이런 동물들이 있을 것이라 믿었던, 또는 희망했던 그런 동물들을 이야기하고 있다.

 

그 주인공들은 용, 봉황, 해태, 불가사리, 기린, 여기에 호랑이와 거북이 등장한다. 호랑이와 거북은 실존하는 동물들이다. 하지만, 그런 동물들이 상상의 동물이란 범주 안에 들어가게 된 이유는 유물 속에 등장하는 호랑이는 우리의 실재하는 호랑이와 조금 다른 의미를 갖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날개가 달린 호랑이가 유물 속에 등장한다. 그러니 이는 분명 상상 속의 동물이다. ‘좌청룡 우백호란 말에 등장하는 호랑이 역시 이처럼 신격화 된 호랑이이다. 거북 역시 현무라는 신격화된 동물로 이해했기에 여기 상상의 동물범주에 함께 실려 있다. 또한 불가사리는 바다 속의 불가사리가 아닌, 설화 속에 등장하는 쇠만 먹는 다소 코끼리처럼 생긴 괴수이고, 기린 역시 목이 긴 기린이 아닌 용마라 불리는 사령(四靈)에 속하는 기린을 말한다.

 

이런 우리의 유물 속에서 발견하게 되는 상상 속의 동물들을 살펴보는 재미가 대단하다. 책의 내용을 통해, 우리의 용과 서양의 드래곤이 같지 않음도 알게 된다. 무엇보다 큰 차이는 동양의 용은 날개가 없다는 점. 날개가 없되 하늘을 날고, 바다를 지배하는 신적 존재가 용이라는 것. 또한 봉황이 처음엔 우리의 삼족오에서 시작된 개념이며, 이 봉황은 여성적인 의미가 결코 아닌 수컷이 봉, 암컷이 황으로서 중국이 용을 신격화 했다면, 우리 민족은 봉황을 신격화 한 것으로 결코 그 서열이 용의 아래가 아닌 것이었음을 저자는 말한다(봉황을 여성의 이미지를 갖게 한 것 역시 이런 서열화 작업의 일환이다.).

 

또한 광화문과 국회의사당 앞에 있는 해태상. 그 해태의 역할은 불을 다스리는 의미가 있지만, 이것보다 보다 근원적인 의미는 잘잘못을 가리고 좋고 나쁨을 판단하는 동물이라는 것이 의미 있게 다가온다. 국회 안에서 옳지 않은 일을 하는 이들이 있다면, 이 해태상이 꽉 물어버린다면 어떨까 하는 상상도 하게 되고.

 

아무튼 유물 속에 살아있는 동물 이야기 1을 통해, 우리의 상상 동물들을 만나게 되는 재미도 있을뿐더러, 이 책으로 인해 앞으로 유물 속에 새겨진 동물들을 만나게 될 때, 그 의미가 남다를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