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에도 흔들리는 땅 - 조선시대 지진과 재난 이야기
최범영 지음 / 소명출판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질학자가 쓴 「조선시대의 지진과 재난 이야기」를 만났다. 『바람에도 흔들리는 땅』이란 제목의 두툼한 책이다(600페이지 가량이다.). 이 책을 읽으며, 이 책의 정체(?)는 과연 무엇일까를 먼저 생각해본다. 저자는 소설의 형식을 빌려, 조선 시대의 지진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고 말하지만, 정작 소설이라 말할 수 없는 책이다. 오히려 조선시대의 지진과 재난에 대한 역사적 자료를 연구하고 정리한 논문에 가깝지 않을까? 하지만 논문이라 하기엔 어쩐지 정리되지 못하고 산만한 느낌이 든다. 그러니, 큰 카테고리 안에서는 지질학자이지만, 자신의 전공분야가 아닌 지진에 대해, 특히 조선시대의 고문서들을 통해 지진에 대해 접근하며 공부한 것들을 정리한 보고서 정도라면 맞지 않을까 싶다. 여기에 중간중간 소설적 설정에 가미된 책이라 보면 적당하겠다.

 

저자는 조선시대의 역사적 기록으로 『조선왕조실록』, 『승정원 일기』, 『해괴제등록』(땅에서 일어나는 변괴를 풀기 위해 드리는 국가가 주관한 제사에 대한 기록) 이렇게 세 가지 자료를 참고하여 그 안에서 발견되는 지진이나 화산활동, 해일 등에 관한 내용들을 정리하며, 당시 지진의 지리적 범위나 지진의 강도와 피해 등을 학문적으로 재구성한다(이런 내용들이 책의 주를 이루고 있다.). 뿐 아니라, 책의 뒤편에는 조선 시대 지진 화산 해일에 대한 기록들을 시기 순으로 정리해 놓고 있다. 이 부분이 250페이지 가량의 분량이나 되는데, 이러한 자료 정리만으로도 큰 의의가 있다고 여겨진다. 이 부분은 조선시대 지진에 대해 알길 원하는 이들에게는 큰 도움을 줄 학문적 가치가 있다.

 

그렇다면, 저자는 이렇게 조선시대의 지진과 화산, 해일 등에 관한 자료들을 연구하고 정리함으로 독자들에게 어떤 이야기를 하려던 것일까? 물론, 어쩌면 자신이 공부하고 연구한 자료들을 정리하여 독자들에게 소개한다는 의의를 갖고 있을 수도 있겠다. 하지만, 독자의 한 사람으로서 이 책을 읽고 난 이후, 이러한 지진에 대한 정보들을 통해 느낀 점이 있는데, 그것들이 바로 저자가 의도하고 있는 바가 아닐까 싶다.

 

첫째, 조선시대의 지진에 대한 기록이 대단히 방대하며 자세하다는 점이다. 이는 저자 역시 책 내용 가운데 언급하고 있는 바인데, 우리 선조들의 기록문화가 결코 부끄러운 수준이 아니라는 점이다. 아니 오히려 자긍심을 가질 수준이었음을 이야기한다. 우린 우리의 것에 대한 자긍심을 갖기보다는 도리어 부끄러워하고 스스로 폄하하는 모습들을 보일 때가 종종 있다. 이런 시선의 전환을 저자는 꾀하고 있지 않을까?

 

둘째, 우리나라가 결코 지진으로부터의 안전지대는 아니라는 점이다. 우리에겐 안전불감증이란 고질병이 있다. 한반도에 수많은 지진이 실제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지진은 우리의 문제는 아니라는 생각을 하곤 한다. 물론, 필요이상의 공포감을 조성함으로 사회를 불안하게 해서는 안 되겠다. 하지만, 그럼에도 막연히 안전하다는 생각만을 갖고, 정작 위험에 대비하지 않는다는 것은 더 큰 재앙을 낳게 될 죄악이 될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셋째, 지진은 나는 곳에서 거듭하여 발생하고 있음을 저자는 역사적 기록을 통해 고발한다. 이를 통해,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무엇이었을까? 직접적으로 꼬집어 말하고 있진 않지만, 에둘러 말하는 바는 원전에 대한 경고가 아닐까? 이웃나라 일본의 경우를 통해, 어느 원전도 안전하지 않음을 우린 발견하게 되었다. 아울러 실제 선진국들은 원전을 축소하는 경향이다. 그럼에도 우리는 국가적 차원에서 오히려 원전 의존도를 더욱 높이고 있다. 그러면서도 정부는 안전하다는 말, 정부를 믿어달라는 말로 의뭉거릴 뿐이다. 하지만, 오늘 우리의 원전이 위치한 자리들이야말로 조선시대 지진이 빈번하게 일어난 곳임을 이 책을 통해 발견하게 된다.

 

넷째, 소설적인 접근을 통해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재난에 대한 접근이다. 바로 재난을 정치적으로 접근하는 부조리에 대한 고발이다. 재난의 피해자들에 대한 보호와 구출, 돌아봄보다는 정권의 안보를 먼저 생각하는 구조의 폐해를 저자는 소설적인 접근을 통해, 말하고 있다. 심지어 이런 재난이 누군가에게는 이익을 창출하는 기회가 되고 있음도 저자는 말한다. 바로 연민공동체의 작동을 거부하는 재난 자본주의의 모습인데, 어째 우리 눈에 익숙한 모습처럼 느껴져 씁쓸하기도 하며, 위기감을 느끼게도 한다.

 

다소 책의 내용은 산만하며, 정체성이 모호한 책이라 느껴짐에도 조선시대의 역사적 자료들을 통해, 지진과 해일, 화산활동 등에 대한 연구와 자료 정리라는 측면, 그 노력은 가히 박수를 받아 마땅한 책이다. 어쩌면 노력의 모습 앞에 다소 산만함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을 좋은 책이며, 자료로 참고할 가치가 충분한 좋은 책임에 분명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